▲ 권순직 논설주간
▲ 권순직 논설주간
미국의 폭스 뉴스사(社)가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개표 조작 가짜 뉴스를 보도한 사건과 관련, 1조원을 배상하기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4.19혁명 기념식에서 “4.19혁명 열사가 피로써 지켜낸 자유와 민주주의가 사기꾼에 농락당해선 안된다”면서 “ 지금 세계는 허위 선동, 가짜 뉴스, 협박, 폭력,선동 이런 것들이 진실과 자유로운 여론 형성에 기반해야 하는 민주적 의사결정 시스템을 왜곡하고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가짜 뉴스를 퇴치하기 위해 기존 가짜 뉴스 퇴치 테스크포스 기능을 강화, 한국언론진흥재단에 가짜 뉴스 신고 상담센터를 설치키로 했다.

 우리나라 뿐이 아니고 전 세계적으로 가짜 뉴스와의 전쟁이 치열하다. 각국의 관련 기관들이 팩트 체크에 적극 나서고, 인공지능(AI)를 활용한 거짓 뉴스 판별 기능 개발에 적극적이다.

 사실 ‘가짜 뉴스’는 존재할 수 없는 용어다. 가짜(fake)와 뉴스(news)는 합쳐서 쓸 수가 없다. 가짜면 뉴스가 될 수 없고, 뉴스엔 가짜가 끼어들면 안된다.

 그래서 유럽연합(EU)은 이미 2018년부터 공식적으로는 가짜 뉴스란 말을 쓰지 않고 허위정보(disinformation)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우리도 2019년부터 한국방송통신위원회는 허위조작정보라는 말을 쓴다. 

 그 용어를 쓰지 않는다고 가짜 뉴스가 사라지지도 않고, 더욱 기승을 부린다. 특히 정치권을 중심으로 자신에게 좋은 것은 진짜 뉴스고, 불리하면 가짜 뉴스로 치부하는 현상을 우리는 매일 매일 접하고 있다.

도대체 뭘 가짜 뉴스라 부를건가.

 가짜 뉴스는 전체가 거짓 날조일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사실을 전하면서 부분적으로 조작하고 검증되지 않은 내용을 끼워 넣는 경우가 많다.

 어떤 의도를 갖고 잘못된 정보를 만들어 퍼뜨리는 허위정보 조작정보가 대표적인 가짜뉴스일 터이다.

 그럴듯한 명분 도덕성 이념으로 포장된 가짜 뉴스의 생산 유통 주체는 주로 정치인이나 SNS선동가 장사꾼인 경우가 많다.

 권력을 노리고, 여론을 조작하며, 국민을 분열시킨다. 여기에 빌 붙어 돈 벌이를 하는 장사치 사이비 언론인도 비일비재한 게 현실이다.

 그 폐해는 이루 말할 수 없다. 나라를 갈가리 쪼개 비난과 증오의 판으로 만들고, 여론을 왜곡함으로써 혹세무민(惑世誣民) 곡학아세(曲學阿世)로 자유민주주의 체제 자체를 위협한다.

 가짜 뉴스가 사회에 횡횡하면 어떤 현상이 빚어질까. 

우선 ‘판단 장애’에 빠지기 쉽다. 사실을 전하는 뉴스를 접하고도 해석과 판단에 주저하게 된다. 뻔한 사안에도 판단을 못한다.

 이런 단계가 지나면 댓글과 단톡방, 소셜 미디어나 TV 패널들의 말을 듣고 취사선택해 자기 생각과 같은 사안만 받아들인다. 

원하는 것만 보고 믿는 이른바 ‘확증편향’(cdnformation bias)에 빠져든다.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자기 편 끼리만 모여 끼리끼리 소통하는 ‘메아리 방’(ecoh chamber) 현상으로 발전한다.

가짜 뉴스의 폐해

 과거 우리 사회는 남북 분단과 남남갈등, 영호남으로 대표되는 지역 갈등, 산업화 이후엔 빈부갈등으로 몸살을 앓아왔다.

 그러던 것이 이제는 가짜 뉴스가 횡횡하게 되면서 새로운 갈등, 국민 갈라치기가 심각해지고 있다.

 가짜 뉴스의 횡횡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촌에 폭스 뉴스 사건이 상징하는 의미는 엄청나다. 
 
 건국 이후 언론 출판의 자유를 폭넓게 인정해 온 미국에서 보도 관련 재판이 이처럼 거액의 배상으로 마무리 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미국 사회에서 가짜 뉴스로 인한 사회적 해악을 퇴치하는 것이 표현의 자유 보호를 넘어서는 급선무가 되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라는 점에서 전세계가 주목한 것이다. 

폭스 뉴스 사건의 상징성

 이 사건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처럼 가짜 뉴스가 판을 치는 나라도 드물다. 
 휴대폰 인터넷 보급률이 세계최고를 기록하면서 가짜 뉴스는 가히 빛의 속도로 빠르게 전파된다.

 우리가 경험했던 가짜뉴스들을 보자. 최근 일로 민주당 김의겸의원이 제기힌 대통령 법무부장관의 청담동 술판 사건은 대표적 가짜 뉴스임이 이미 판명됐다.

 그럼에도 이를 믿고 비난 공격은 그치질 않는다. 정정 사과 반성도 없다.

 2008년 MBC PD수첩 보도로 시작된 광우병 사태도 가짜 뉴스로 밝혀졌지만 제작진의 제대로 된 사과나 책임도 없었다. 

 2010년 천안함 폭침이 ‘자작극’이다 ‘미군 잠수함 충돌’이다 ‘우리 기뢰폭발’이다 등 온갖 가짜 뉴스가 난무했다.
 2014년 세월호 침몰때는 미군 잠수함, 한국군 잠수함 충돌설이 진짜인 듯 떠돌았다.

 공식조사 결과 허위임이 밝혀져도 이를 믿지 않는 세력이 있고, 이를 이용하는 정치인들을 우리는 수없이 보아왔다.

가짜 뉴스 퇴출이 직면 과제

 암과 같은 가짜 뉴스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지 진지한 대책 마련이“시급하다. 
 여러 해 전부터 서울대에 팩트 체크를 전담하는 SNU팩트체크가 활발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이밖에도 언론인 교수 전문가들이 참여한 바른언론시민행동이 출범,”자유민주주의를 위협하는 가짜 뉴스를 감시하고 과학적 객관적 방식으로 검증하겠다“고 다짐했다

 정부 또한 한국언론진흥재단 내에 ‘가짜 뉴스 신고 상담 센터’를 설치했다. 가짜 뉴스로 피해를 본 국민의 구제 절차를 안내하고 허위 정보에 관한 피해구제 사례집 발간 활동을 벌일 방침이다.

 ‘인공지능 가짜 뉴스 감지 시스템’ 개발도 지원한다. 가짜 뉴스로부터 개인의 인권을 보호하고, 가짜 뉴스가 건전한 사회의 저해 인으로 더 이상 악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하는 일이 직면한 과제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