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재옥 운영위원장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간사 선임의 건을 상정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윤재옥 운영위원장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간사 선임의 건을 상정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김남국 무소속 의원의 ‘거액 코인 보유 논란’과 ‘국회 입법 로비 의혹’을 둘러싸고 국민의힘과 국회 사무처가 게임업계의 국회 출입기록 공개를 두고 설전을 벌였다.

국민의힘은 류호정 정의당 의원의 사례를 언급하며 공개 요청을 주장하는 데 반해 사무처는 국회법에 따라 국회 상임위원회 의결로 요구해야 제공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24일 국회 운영위원회는 전체회의를 열고 국회 사무처와 국가인권위원회 등을 대상으로 현안질의를 실시했다.

이 자리에서 국민의힘은 해당 논란의 중심에 있는 게임업체 위메이드 등의 국회 출입기록을 공개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은 “이재명 당시 대선 후보는 처음에 P2E 금지는 쇄국정책이라 했는데, 당시 민주당 메타버스특보단 공동단장이었던 위정현 교수가 P2E 합법화를 극렬하게 반대했다”면서 “김남국 의원이 배후가 아닌가란 제보가 있고, 김남국 의원과 업계 사이에 ‘위믹스 이익공동체설’까지 나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회 사무처에 위믹스 임직원 국회 출입 기록을 요구했으나 개인정보를 이유로 제출을 거부했다”며 “2020년도에 류호정 의원이 요청해 5개 기업 임직원 출입 기록을 제출한 바 있는데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린 것인가”라고 꼬집었다.

앞서 류호정 의원은 지난 2020년 10월 모 대기업 임원이 국회 출입 기자 등록증을 이용해 국회 건물을 자유롭게 드나들었다고 밝혔다. 

해당 기업은 당시 중소기업 기술탈취 관련 민원을 접수해 부사장을 증인으로 신청한 직후부터 자사 임원이 기자 출입증을 이용해 의원실에 매일 출입한 것으로 나타나 류 의원은 출입기록을 요청해 수령했다.

이에 김 의원은 당시는 됐고 현재 위메이드는 왜 안 되는지에 대해 의구심을 표하며 “대기업 출입 정보는 다 공개했고 나중에 부적절했다고 해명하는 것을 국민들이 어떻게 보겠나”라며 “최소한의 정보조차 공개하지 않는다면 제 식구 감싸기라는 비판에 직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이광재 국회 사무총장은 “위메이드의 국회 출입기록에 대한 여야 의원들의 자료 요구가 많은 상황”이라면서 “2020년 정보공개심의 절차를 거쳐 국회 출입 횟수와 날짜를 포함한 모든 부분의 기록을 공개하지 않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행법으로는 상임위 의결이 있어야만 한다”며 “(의결이 된다면) 언제든 제출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다.

국회법 제128조 1항에 따라 본회의, 상임위 또는 소위원회 의결로 자료 제출을 요구하거나 예외적으로 위원회가 청문회, 국정감사 및 국정조사와 관련해 재적위원 3분의 1 이상이 요구할 시, ‘국회에서의 증언·감정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라 관련 자료를 제출할 수 있다는 입장을 근거로 국민의힘의 요청을 기각한 것이다.

한편, 이날 이 사무총장과 대체불가토큰(NFT) 테마코인 ‘이재명 펀드’에 대한 의혹도 제기됐다.

전주혜 국민의힘 의원은 최근 보도된 이 사무총장이 대선 선대위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선거자금 모금 방식을 제안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언급하면서 이에 대한 사실 확인을 요청했다.

이 사무총장은 이에 대해 “선거자금을 후원회에서 코인으로 받을 수 있는 부분을 제가 제안했고, 영수증을 NFT로 발행한 건 제가 최초로 제안했다”면서도 “선거캠프에 직접 제안한 것은 아니다”라고 반박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