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훈 기자
xo9568@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하태경, 나치문양과 욱일기 다른 잣대 필요 주장···논란 예상
안호영 “河, 욱일기 의미 안다면 그런 말 할 수 없어”
하 의원은 30일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인공기 걸어도 우리 사회가 어느 정도 용인하는 분위기 아닌가. 마찬가지로 욱일기하고도 화해할 때가 됐다”며 “(일본과) 셔틀외교까지도 하는 상황에서 인공기하고는 화해하면서 욱일기는 끝까지 못 걸게 하는 건 좀 지나치다”고 말했다.
하 의원은 독일 나치문양과 욱일기를 바라보는 잣대를 달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나치문양은 나치정당을 상징하는 거고, 독일 군대를 상징하는 건 철십자기라고 있다”며 “(철십자기는) 독일 군대가 아직도 쓴다. 나치정당을 상징하는 하켄크로이츠는 금지하고 있다. 욱일기는 일본 군대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해상 자위대가 일본 전범기를 고수하려는 것이 문제 아니냐’는 질문엔 “독일 철십자기를 세계가 용인하는 것처럼 일본 욱일기도 세계가 용인한다. 심지어 중국 정부도 용인한다”며 “(욱일기를 용인 못한다면) 독일의 철십자기도 용인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하 의원은 “제가 욕먹을 각오하고 말을 한다”며 “일장기가 전범기인데 일장기는 왜 허용하는가. 이 시점에서 욱일기에 대해 화해정책을 펼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같은 설명에도 불구, 하 의원의 발언은 자칫 일본 측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으로 읽힐 수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으로부터 시작해서 (여당의) 한일관계 역사 의식에 대한 몰이해”라며 “우리 국민 정서와 전혀 안 맞는 행보들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일본 해상자위대 호위함 하마기리함은 지난 29일 다국적 해양차단훈련(PSI)에 참가하기 위해 욱일기의 일종인 ‘자위함기’를 게양한 채로 부산 해군작전기지에 입항했다. 일본 해상 자위대 함정은 한국, 미국, 호주 등과 함께 31일 제주 동남방 공해상에서 열리는 한국 정부가 주최하는 다국적 훈련 해양차단훈련에 참가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