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창 기자
sjcmajesty@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지난 11일 A 씨가 언론에 보낸 입장문에 따르면 “이동관 특보의 아들로부터 사과받고 1학년 1학기에 이미 화해한 상황이었다”며 “뒤에는 문제없이 잘 지내고 있었다”라고 밝혔다.
A 씨가 ‘학폭 논란’에 대해 직접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A 씨는 “2011년 하나고 재학 시절 B와 다툰 후 화해했으며, 최근에도 만날 정도로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A 씨는 자신이 ‘학폭 피해자’로 간주 되는 것에 큰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전했다.
A 씨는 일부 언론에 보도된 ‘학폭 진술서’에 대해 “B를 학폭위에 회부 해 달라는 등의 취지로 작성한 것이 아니다”며 “당시 ‘특정 교사’가 1차적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겪었거나 알고 있는 피해 사례를 모두 적어달라고 해 다소 편한 마음으로 작성했는데, 나를 포함 해 일부 학생이 작성한 진술서를 본 ‘일부 교사’가 B 씨에 대한 처벌을 강하게 요청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에 진술서를 작성한 다른 학생들과 같이 선생님들께 찾아가 ‘우리는 B의 전학을 원치 않는다, 막아달라’고 읍소했다”고 말했다.
A 씨는 B 씨의 징계를 요구하는 취지가 아니었고, 학교 측에서 B 씨를 처벌하려 하자 직접 나서서 이를 만류했다고 전했다. 특히 해당 진술서는 B 씨와 화해하고 1년이 지난 시점에 작성한 것이며, 언론에 보도된 것과 다르게 ‘일방적 괴롭힘이 아닌 쌍방 다툼’이었다고 전했다.
아울러, A 씨는 “현재도 B와 간혹 연락을 주고받으며 꾸준히 교류를 이어나가고 있다”면서 “내가 피해자였다면 B의 전학을 막아달라고 읍소할 수 있었을지 의문”이라고 강조했다.
A 씨는 당시 사건으로 정신적 고통을 겪어나 치료를 받은 적이 없다고 했다.
오히려 자신이 ‘학폭 피해자’로 불리는 것에 큰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재차 강조했다.
A 씨는 “이 특보와 아들 B에 대한 논란을 보도한 <MBC>가 주변 지인들을 전언을 토대로 자신을 ‘학폭 피해자’로 확정지은 것이 너무 충격적이었고, 분노하기도 하여 몇 차례나 이런 방식의 취재가 불쾌하다고 말씀드렸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 특보는 지난 8일 대통령실 출입기자단에 배포한 입장문을 통해 “최근 야당 대표까지 나서서 무차별한 ‘카더라’식 폭로를 지속하고 있다”며 “정치권부터 정쟁을 위한 무책임함 폭로와 가짜뉴스 생산을 멈춰달로”고 밝혔다.
이 특보는 입장문에 ‘아들 학폭 논란’에 대한 입장과 ‘<MBC> 스트레이트 보도 진위 여부’, ‘학폭 진술서 진위 여부’ 등 논란 사항을 7가지 항목으로 정리해 반박했다.
한편, <투데이코리아>는 해당 사건에 대해 하나고등학교의 입장을 듣고자, 여러차례 통화를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