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7일 취임 1주년을 맞아 출입기자단 간담회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7일 취임 1주년을 맞아 출입기자단 간담회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투데이코리아=김지수 기자 | “사회공동체의 일원인 취약계층 어려움에 대한 관심과 배려 없이 경제와 금융산업이 건강하게 발전할 수 있을까 고민해 본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오는 11일 취임 1주년을 맞는 가운데 취약계층 지원과 금융시장 안정에 주력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앞서 김 위원장은 1년 전 취임식에서 “한국 경제 내 취약계층의 어려움에 세심한 관심을 두길 바란다”며 “취약계층 지원에 전력을 기울이겠다”고 약속했다.
 
업계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취약층 보호를 위한 정책을 충실히 이행했다고 평가했다.
 
우선 김 위원장은 지난해 8월 ‘125조 원+a’ 규모의 금융 부문 민생 안정 과제를 통해 소상공인을 위한 80조 원 규모의 저금리 대환 대출, 45조 원 규모의 채무 조정 등 맞춤형 지원과 개인 대출자를 위해 변동금리를 고정금리로 바꿔주는 주택담보대출 안심전환 대출 등을 이행했다.
 
이후 9월에는 코로나19 피해 차주에 대한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 종료에 대비한 정책을 꺼내 들었다. 이에 만기연장은 자율 협약으로 전환 후 최대 3년간 만기연장을 추가 지원하고 상환유예는 올해 9월까지 추가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 10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한 30조 원 규모의 맞춤형 채무조정 프로그램인 ‘새출발기금’을 출범했다.
 
새출발기금은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자영업자·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재기 지원 프로그램으로, 원금조정(원금감면)은 상환능력을 크게 상실해 금융채무 불이행자(부실차주)가 된 연체 90일 이상 차주가 대상이다.
 
또, 대환대출 플랫폼이나 청년도약계좌 출시도 긍정적으로 평가받을 만하다고 보고있다.
 
한편,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취임 1주년을 맞아 서울 중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출입기자단 간담회를 갖고 금융시장 안정유지, 금융 취약계층 포용, 금융산업 혁신, 경제 혁신성장 지원, 기술 발전에 대비한 금융제도·감독 보완, 불공정거래 근절 등 6가지 정책을 추진할 방침을 내비쳤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경제·금융 불안 요인이 잔존하는 만큼 금융안전 및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가계부채의 건전한 관리, 국민들의 금융거래 편의성 제고 등 금융위의 기본적인 책무들도 차질 없이 수행할 계획”이라며 “한국경제의 재도약, 함께 잘 사는 국가 구현이라는 새 정부 비전을 달성할 수 있도록 금융분야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