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교도통신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기시다 총리는 12일(현지시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방문한 리투아니 빌 뉴스 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봄부터 여름쯤 전망이라고 제시해 온 방침에 변경은 없다”고 밝혔다.
이어 “안정성 확보와 풍평(뜬 소문) 대책 상황을 정부 차원에서 확인한 후 (구체적인 방류 시기를) 판단하겠다”면서도 “방류 시기를 연기하거나 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취지로 강조했다.
또한 기시다 총리는 나토 정상회의를 계기로 추진된 윤석열 대통령과 개별 회담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에 관한 여러 가지 의제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방류에 대한 점검 과정에 우리 전문가도 참여할 수 있게 해달라”고 부탁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기시다 총리는 “일본 총리로서 해양 방출 안전성에 만전을 기하여 자국민 및 한국 국민들의 건강과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방출은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또 “해양 방출 개시 후 IAEA의 검토를 받으며 일본이 시행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높은 투명성을 갖고 신속하게 공표할 것”이라며 “모니터링을 통해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등 문제가 발생할 경우, 계획대로 즉시 방출 중단을 포함해 적절한 대응을 취할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이러한 한일정상회담의 결과를 두고 야권에서는 비판적 여론이 쇄도했다.
윤건영 민주당 의원(초선)은 MBC라디오를 통해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 대통령이 아닌 것 같다”며 “실망 그 자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국민의 80%가 불안해하고 반대한다면 대통령으로서 그 뜻을 전달할 의무가 있는데 그 의무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라며 “심각한 직무유기”라고 주장했다.
박광온 민주당 원내대표도 국회 본청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기시다 총리는 후쿠시마 핵 물질 오염수 해양투기를 통보했고, 윤석열 대통령은 용인했다”며 “윤 대통령은 국민의 기대를 외면했다”고 강조했다.
특히“불완전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보고서를 기준으로 한 실익 없는 회담이었다”면서 “윤 대통령은 방류 점검에 한국 전문가의 참여를 요구했지만, 기시다 총리는 기준을 초과하면 방류를 중단한다고 답했다. (이는) 완전히 동문서답”이라고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민주당뿐 아니라 정의당에서도 이번 정상회담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감 없이 드러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후쿠시마 핵오염수 해양투기와 관련해 대한민국 대통령다운 입장이 있길 바랐던 일말의 기대는 여지없이 무너졌다”며 꼬집었다.
이어 “정부는 이번 한일정상회담에서 ‘방사성 물질 농도 초과시 방류 중단’ 동의를 이끌어냈다며 엄청난 성과인양 자화자찬만 늘어놓았다”면서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을 그토록 신뢰할 수 있다는 정부의 인식이 놀랍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