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최근 폭우로 인해 미호강 제방이 무너지면서 유입된 약 6만t(톤)의 흙탕물로 14명이 숨진 사건이 발생했지만, 그 당시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순방길에 올랐던 것으로 확인돼 국민들로 하여금 의문을 자아냈다.
이를 두고 여야도 윤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담 후 귀국해 국내 수해 문제를 해결한 뒤 우크라이나를 방문했어야 한다는 목소리를 거세게 내고 있는 상황이다.
대표적으로 안철수 의원은 “이럴 때는 나토 정상회담만 참석하고 오셔서 이 문제(국내 수해)를 나름대로 해결하셨으면 어땠을까”라고 아쉬움을 표했고, 김병우 의원도 “재해, 재난 때 컨트롤타워가 대통령실인데 이때 대통령이 안보인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실은 취소하거나 되돌릴 수가 없었다는 입장만 되풀이 하고 있다.
물론 외교안보적 관점에서 단면적으로 바라봤을 때, 윤 대통령의 해외 순방은 자신이 자처했던 ‘1호 영업사원’에 준하는 성적을 거뒀다는 평을 받는다.
이번 순방으로 나토 정상과 반도체·원자력 발전 등 K-산업의 핵심 분야에서 공급망 안정화의 기초를 다지고 양자 간 교류 확대의 물꼬를 텄으며, 폴란드와 약 1200조원 이상의 재원 소요가 예상되는 우크라이나 인프라 재건 협력 업무협약(MOU) 등을 체결하는 성과도 거두었다.
하지만 시기가 안좋았다. 꼭 이럴때 우크라이나를 갔어아 했냐는 의문이 남는다.
또 이러한 상황 속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순방이 “여러 시간 항공편, 차량, 열차를 타야 하는 다소 위험하고 험난한 길이었지만,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우리 국민을 대표해서 우크라이나 국민에게 연대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다”고 자평했다.
그렇지만, 그 시각 우리 국민에게 연대와 희망의 메시지는 없었다. 오히려 순방 일정 연장에 대해 합리화하려는 움직임이 보여 국민들을 더욱 당황스럽게 만들었다.
특히 불난집에 기름을 붓는격의 발언도 있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우크라이나행 취소 검토 여부를 두고 “대통령이 당장 서울로 뛰어가도 상황을 크게 바꿀 수 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져 국민적 공분이 일었다.
물론 해당 관계자의 언급대로 윤 대통령의 존재가 이번 수해 피해를 막을 수 없었을 수도 있다.
그러나 국민들은 지난 이태원 참사에서 나아가 이번 침수 피해까지 겹치며 대한민국의 컨트롤타워 부재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하는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에게 국정지지율의 기반이 되는 ‘실리외교’가 다분히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십분 이해하지만, 그는 결국 영업사원이 아닌 대한민국의 대통령이라는 점을 망각해서는 안될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속 폐허를 들여다보는 것이 아닌 먼저 톤이 흘러 들어와 침수된 오송 지하차도의 면면을 먼저 굽어살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 장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