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달(왼쪽 두번째) 경실련 사무총장이 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열린 '현역 국회의원 전과경력자 조사발표 및 공천개혁 촉구 기자회견'에서 취지발언을 하고 있다. 경실련은 "내년 총선에서는 각 정당이 공천배제 기준을 강화하고 예외규정을 삭제하여 철저한 자질검증에 나설것을 촉구한다"면서 "민주화·노동운동 전과를 제외하고 음주운전 2건 이상, 민생범죄, 파렴치 범죄 등에 대해서는 부적격자로 공천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뉴시스
▲ 김성달(왼쪽 두번째) 경실련 사무총장이 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열린 '현역 국회의원 전과경력자 조사발표 및 공천개혁 촉구 기자회견'에서 취지발언을 하고 있다. 경실련은 "내년 총선에서는 각 정당이 공천배제 기준을 강화하고 예외규정을 삭제하여 철저한 자질검증에 나설것을 촉구한다"면서 "민주화·노동운동 전과를 제외하고 음주운전 2건 이상, 민생범죄, 파렴치 범죄 등에 대해서는 부적격자로 공천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21대 국회의원 6명 중 1명 꼴로 전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경실련)은 25일 기자회견을 갖고 21대 국회의원 당선자 300명 중 의원직을 상실했거나 재·보궐 선거로 당선된 의원을 제외한 283명의 전과 경력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현역의원 283명 중 민주화운동·노동운동을 제외한 전과 경력 보유자는 모두 47명(16.6%)이다. 이를 수치화한다면 6명 중 1명은 전과자라는 의미다.

특히 국가보안법·집회시위법 위반 사례까지 모두 합할 경우, 전과 경력 보유 비율은 33.2%에 육박한다.

경실련은 전과 건수는 총 67건으로 음주운전 38건(56.7%)이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이어 민생범죄(농지법 위반 등) 10건(14.9%), 선거범죄 9건(13.4%), 재산범죄(사기 및 횡령) 3건(4.5%), 부정부패(뇌물 관련) 2건(3.0%), 문서 위조 2건(3.0%), 무고 등 2건(3.0%), 강력범죄(강도상해) 1건(1.5%) 순이었다고 설명했다.

소속 정당별로 보면 민주당은 소속 의원 165명 중 27명(16.5%, 44건)이, 국민의힘은 소속 의원 100명 중 19명(19.0%, 22건)이 전과 경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과가 가장 많은 국회의원은 민주당 김철민 의원으로 건축법과 음주운전 관련 전과 각각 2건으로 모두 4건의 전과가 있었다.

경실련 “각 당에 부적격 심사 기준이 명시되어 있지만, 제대로 적용되지 않아 국민 불신이 크다”면서 “각 당이 공천 배제 기준을 강화하고 예외 규정을 삭제하는 등 공천개혁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또 전과 경력자 47명 중 27명(음주운전 1건 제외)에 대한 공천 배제도 촉구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