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제주도청 백록홀에서 김희현 정무부지사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에 따른 대응 단계를 현재 2단계인 '주의'에서 오는 24일부터 3단계인 '경계'로 격상을 밝히고 있다. 사진=뉴시스
▲ 22일 제주도청 백록홀에서 김희현 정무부지사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에 따른 대응 단계를 현재 2단계인 '주의'에서 오는 24일부터 3단계인 '경계'로 격상을 밝히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조태인 기자 | 지난해 연말 예산 정국속 부적절한 행보로 구설에 오른 김희현 제주도 정무부지사가 전격 사퇴했다.
 
김 부지사는 지난 15일 도 대변인을 통해 “먼저 진위를 떠나 이번에 불거진 논란으로 공직자와 도민들에게 피로감을 주고 심려를 끼쳐 죄송스러운 마음이다. 사죄를 드린다”며 고개 숙였다.
 
그러면서 “저는 이제 직을 내려놓고 자연인으로 간다”며 “도민을 비롯한 모든 분에게 인정받을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갖겠다”고 전하며 사의를 표했다.
 
이어 “어느 곳에 있든 오영훈 도정의 성공과 행복을 빌겠다”며 “제주도정을 떠나서도 타인을 위해 봉사하며 살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오영훈 제주지사는 그의 사의를 수용하면서 “논란 과정에서 공직자를 비롯한 공인에게 요구하는 윤리적 기준이 매우 높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생각해야 한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KBS제주는 김 부지사가 지난해 11월 25일 부산 모처에서 한 여성과 밤거리를 거닐던 모습을 보도해 지역 정가에서 논란이 일었다. 당시 제주도는 정부의 긴축재정에 지방채 발행까지 염두에 둘 정도로 비상였던 만큼  정당과 공무원노조 등은 김 부지사에게 해명과 함께 사퇴를 촉구했다.

다만, 김 부지사는 지난 10일 기자회견 당시 본인의 사생활 논란과 관련해 “법정 공휴일인 토요일이나 출장 중이라도 개인적인 용무를 볼 수 있다”며 “회기 직전에 개인 용무를 본 게 문제라는 것에 동의할 수 없고 과도한 해석”이라고 반발한 바 있다.

하지만 국민의힘 소속 초선 의원들이 12일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사생활 보장 차원을 넘어 직무유기자 무능력, 무도덕의 극치”라며 오영훈 도지사를 향해 공개적으로 경질을 촉구하는 등의 지역 정가에서는 계속적으로 논란이 일은 바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