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인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9일 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최근 미국에서 판매 중인 김치라면과 김치사발면(용기면) 포장지에 적힌 라바이차이 표기를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앞서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미국에 거주하는 누리꾼들이 공통으로 제보했다”며 “라바이차이는 중국 동북 지방의 배추절임 음식으로, 우리의 김치와는 전혀 다른 음식”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그러면서 “최근 몇 년간 중국에서는 공산당 기관지인 환구시보 및 글로벌타임스의 김치 도발 기사, 중국 최대 포털인 바이두 백과사전의 김치 기원 왜곡 등 지속적인 ‘김치공정’을 펼쳐 왔다”며 “잘못된 중국어 표기를 사용하게 되면 중국에 또 하나의 빌미만 제공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농심 관계자는 언론을 통해 “김치라면은 과거 미국 시장에 진출한 초기에 중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아시안 마켓에서 많이 팔린 점을 고려해 라바이차이란 표기를 해왔다”면서도 “표시 규정과 법규를 위반한 것은 아니지만 논란이 될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 만큼 신속하게 패키지를 바꾸기로 했다”고 해명했다.
현행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에 따르면 한국 문화와 관련된 명칭은 전통성을 드러내기 위해 본래 명칭을 음역하도록 규정한다. 예시로는 김치는 신치(辛奇), 동동주는 동동지우(冬冬酒) 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