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1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밤 노스찰스턴에서 열린 집회에 참석해 “의회는 법무부, 연방수사국(FBI), 심지어 지방검찰청과 법무장관들까지 무기화해 자신의 정적(트럼프)을 공격한 삐뚤어진 조 바이든을 탄핵해야 한다(impeach crooked Joe Biden for attacking his political opponent by weaponizing)”며 이같이 촉구했다.
이어 “가장 비민주스러운(undemocratic) 일을 자행했기에 그를 탄핵해야만 한다”며 “(탄핵이) 특정국에서는 발생하지만, 미국에서는 없었던 일”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는 잭 스미스 특검과 메릭 갈랜드 법무부 장관이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사법당국의 기소 결정이 백악관과는 별개로 법무부 규정에 따라 내려졌다고 언급한 것에 대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현재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 공화당 대선 주자라는 타이틀이 무색하게 지난 2020년 대선 결과 뒤집기 혐의 등 4개 형사사건에 걸쳐 총 91건의 혐의를 받고 있다.
이를 두고 WP는 “트럼프 전 대통령은 특별한 근거 없이 자신을 무기화된 사법 체계의 피해자(as a victim of a weaponized legal system)로 묘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문제는 이번 트럼프 전 대통령의 탄핵 발언이 공화당이 다수인 하원에서 두 번의 시도 끝 쟁취한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미 국토안보부 장관에 대한 탄핵안 최종 가결 이후 나왔다는 것이다.
다만 다수가 민주당인 상원 투표가 아직 남아 있어 마요르카스 장관에 대한 최종 탄핵 여부는 현재로선 불투명한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전략이 결국 오는 11월 예정된 미 대선 전 국경, 불법이민 문제를 쟁점화해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을 떨어트리기 위한 정치적 수단이라고도 보고 있다.
실제로 작년 공화당은 케빈 매카시 당시 하원의장 주도로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탄핵 조사를 진행했으나 증거 찾기에도 난항을 겪었을뿐더러 탄핵안이 상원의 문턱을 넘을 가능성은 크지 않아 실제 탄핵은 불가능에 가깝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 때문에 WP는 “일부 하원 공화당원들은 대통령 탄핵에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며 “공격받기 쉬운 상황의 현직 의원들로선 이렇게 정치적 논란이 일 수 있는 문제에 투표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한편,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경 발언들을 두고 바이든 측에선 외려 공화당원들이 그의 무기가 됐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아마르 무사 바이든 캠프 대변인은 이날 “오늘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하원 공화당원들이 자신의 캠페인 무기가 돼 근거 없는 탄핵 조사를 통해 그의 명령을 이행하고 있음을 재확인했다”며 이같이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복수, 보복에 초점을 맞춘 독재자용 캠페인을 진행하는 반면, 바이든 대통령은 어떻게 자신의 업무를 마무리하고 미국인들에게 전달할 수 있을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