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사직동 주민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직장인들이 점심시간을 맞아 투표를 하기 위해 길게 줄 서 있다. 2024.04.05. 사진=뉴시스
▲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사직동 주민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직장인들이 점심시간을 맞아 투표를 하기 위해 길게 줄 서 있다. 2024.04.05.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김시온 기자 | 22대 국회의원을 뽑는 4·10 총선 사전투표소 사무원으로 일하던 남원시청 공무원이 사전투표에 동원돼 장기간 근무한 뒤 돌연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진행된 총선 사전투표의 사무원으로 동원된 A 씨가 근무 다음날인 7일 아침 쓰러진 뒤 8일 세상을 떠났다고 9일 밝혔다.

노조는 이를 두고 “가장 민주적이어야 할 선거가 가장 비민주적인 노동착취의 현장이 되고 있다”며 “선거사무에 동원된 공무원은 하루 14시간 이상의 장시간 노동을 하며 식사할 시간마저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민주주의 꽃이라 불리는 선거가 수십 년에 걸쳐 공무원들의 희생에 기대 피어 온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전공노는 선관위가 총선의 투명성을 제고한다며 투·개표 과정 투표함과 투표용지에 대한 접근 권한을 공무원에게만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해 현장 인력 부족을 가중시켰다고 지적했다.

전공노는 “정부는 공무원을 싼값에 부리려는 것도 모자라 인력감축까지 추진하며 현장의 공무원들을 쥐어짜고 있다”며 “더 이상의 죽음을 막기 위해 투표 시간을 8시간으로 단축하는 등 선거사무를 개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