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온 기자
artistxion@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안 의원은 30일 자신의 페이스북를 통해 “그래야 전공의의 절반 정도와 의대생들이 복귀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의대정원의 단계적인 증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는 점부터 밝힌다”면서도 “나는 의대교수 출신이고 여당 중진의원이지만, 국민 편에서 국민의 가장 절박한 민생인 의정 갈등 해법에 대해 합리적 대안에 대해 고언을 드리지 않을 수 없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전공의와 의대생이 현장에 복귀하지 않으면 환자들의 피해가 커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안철수 의원은 “수련병원의 경우에는 의사 부족으로 교수의 피로도가 누적되고 있고 결과적으로 진료가 축소되고 환자들의 피해가 커질 것”이라며 “1, 2차 의료기관에서 응급·중증으로 확진되어 3차 병원으로 이송되어야 하는 환자들도, 진입 문턱이 높아져서 적절한 개입 시기를 놓쳐 건강이나 생명을 잃을 가능성이 갈수록 높아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 병원들도 경영난의 악화로 결국 문을 닫으면서 병원 관련 산업도 재앙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이에 그는 “우수 이공계 인력이 대거 의대로 이동하면서 앞으로 대한민국을 먹여살릴 IT, BT, AI 인력의 부족 현상이 심화될 것은 물론”이라며 “대한민국의 현재와 미래를 위해, 의대증원은 1년 유예하고, 협의체를 구성해 점진적인, 그리고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단계적 증원 규모와 시기를 정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시내 주요 빅5 병원으로 분류되는 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에서 일하는 교수들은 이날 외래 진료와 수술을 중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