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우 카카오게임즈 대표는 8일 1분기 실적발표 후 진행한 컨퍼런스콜을 통해 “비 MMORPG 장르의 주요 핵심 축은 서브컬처, 액션 어드벤처, 전략 시뮬레이션·퍼즐 3가지”라며 “특히, 모바일 장르는 해외에서의 성과나 꾸준한 성장을 위해 필수”라고 밝혔다.
한상우 대표는 이날 MMORPG 장르 시장 상황에 대해서도 “현재 국내 시장에서 MMORPG를 향한 다양한 경쟁작도 등장해 있고 유저 피로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도 맞다”고 진단했다. 다만 그는 “다양한 개발사들이 출시한 좋은 특화 게임들을 잘 서비스한다면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할 기초가 되어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현재 다양한 비 MMORPG 장르 확보를 위해 꾸준한 투자와 협력을 지속하고 있다”며 “서브컬처, 액션 어드벤처, 전략 시뮬레이션 등 과거부터 서비스해 온 게임 경험을 바탕으로 신작에 대한 발굴과 투자를 진행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서브컬처와 액션 어드벤처 장르의 진행 상황과 향후 계획에 대한 언급도 이어졌다.
그는 먼저 서브컬처 장르에 대해 “‘음양사’, ‘프린세스 커넥트’, ‘우마무스메’ 등의 해외 게임을 가져와서 서비스한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이나 기타 해외 지역까지 확장할 계획”이라며 “아직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긴 어렵지만 3개 정도의 신규 타이틀도 이미 소싱 마무리 단계”라고 서렴ㅇ했다.
이어 액션 어드벤처 장르에 대해 “‘가디언 테일즈’로 글로벌 성공을 했던 경험과 노하우, 방법론 등을 활용해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며 “충분한 사전 테스트를 거치고 유저의 수요를 반영해 게임성을 다듬고 라이브 서비스를 운영하며 밸런스 모델을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카카오게임즈가 보유한 역량과 퍼블리싱 단계에서의 역할 등에 대한 언급도 이어졌다. 구체적으로 게임 개발사가 겪는 어려운 부분들에 대해 도움을 제공하며 장기적 신뢰를 바탕으로 함께 발전을 이뤄가겠다는 방침이다.
한상우 대표는 이와 관련해 “카카오게임즈는 개발사들이 단독으로 가져가기 어려운 부분들을 도와주고 있다”며 “글로벌 진출에 있어서 초기 단계부터 유저들과의 소통과 코어 커뮤니티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장기적인 신뢰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카카오게임즈는 하반기부터 급격하게 증가하는 신작 출시 일정에도 마케팅 비용을 매출 대비 6% 이내로 관리하는 등 비용 효율화를 지속할 방침이다.
조혁민 카카오게임즈 CFO는 “라이브 게임 중 특히, MMORPG 라인업 중심으로 되어 있어 다수의 경험을 통한 마케팅 비용 효율화가 지속해서 이뤄졌다”며 “2~3분기는 마케팅 비용이 증가하겠지만 올해 전체로 봤을 때 매출 대비 6% 이내에서 충분히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