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선관위 홍보대사들이 30일 중구 은행동 성심당 본점에서 새로 출시된'4·15 선거빵과 선거케익'을 이용해 국회의원선거 홍보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대전선관위와 대전의 성심당은 투표참여 홍보를 위해 기표모양(卜)과 선거일을 표기한 선거빵 2종, 선거케익 3종을 출시하고 선거일까지 한시적으로 판매한다. 사진=뉴시스
▲ 대전선관위 홍보대사들이 30일 중구 은행동 성심당 본점에서 새로 출시된'4·15 선거빵과 선거케익'을 이용해 국회의원선거 홍보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대전선관위와 대전의 성심당은 투표참여 홍보를 위해 기표모양(卜)과 선거일을 표기한 선거빵 2종, 선거케익 3종을 출시하고 선거일까지 한시적으로 판매한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김시온 기자 | 성심당의 운영사인 로쏘가 대전역점 월세 인상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을 밝혔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임영진 로쏘 주식회사 대표이사는 최근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140명의 직원이 근무 중인 대전역점의 경우 지금 이상으로 임대료를 주고는 있을 수 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성심당 대전역점은 코레일유통과 맺은 임대 계약이 지난달 기준으로 만료된 상황으로, 기존에 내고 있던 월세 1억원은 월평균 매출의 4% 규모이다.

특히 코레일유통 측은 성심당 대전역점 매장에 대해 4차례 공개경쟁 입찰을 진행했으나 적격자가 없어 모두 유찰된 것으로 알려진다. 코레일유통이 최초 입찰 조건으로 제시한 금액은 성심당의 월평균 매출액 약 26억원의 17%인 4억4100만원이다. 

성심당은 입찰에 참여하기는 했지만, 최소 기준액보다 낮은 금액을 제안했다.

이에 성심당은 코레일유통 평가위원회 평가에서 비계량 평가 점수는 기준을 충족했지만, 계량 평가 점수에서는 기준 미부합으로 유찰됐다.

이후 코레일유통은 지난 27일 처음 제시한 입찰금액보다 30%를 감액한 3억917만원으로 5차 입찰공고를 내면서 해당 금액이 규정상 코레일유통이 내릴 수 있는 마지노선이라고 밝혔다. 

이를 두고 임 대표는 “현재 임대료가 월 1억원인 상황에서 4배 이상 뛰는 것인데, 감당할 수 있겠느냐”며 “연간 임대료로 50억원이 지불된다면 다른 방법을 찾을 수밖에 없다. 현재 성심당에는 1000여명이 근무하는데, 빵 재료비와 인건비 상승 등을 감안하면 연간 50억원의 임대료를 주고는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이에 코레일유통의 한 관계자는 “성심당 대전역점의 임대료에 대한 수수료율 적용은 규정에 따른 것으로 다른 매장과의 형평성을 고려한 것”이라며 “특정 업체의 선정을 위해 수수료 금액을 낮춰주는 예외는 둘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소상공인 지원,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위한 지원 방안은 모색하고 있다”면서 임 대표의 주장에 재반박했다.

한편, 성심당 월세 인상은 지난해 국정감사로부터 불거졌다.

성심당은 지난 2012년 11월 대전역에 입점한 뒤 2019년 역사 2층 맞이방으로 이전한 뒤 월 평균 매출액 26억 원의 4% 수준인 1억원의 수수료를 매월 지불했다.

하지만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대전역 성심당에 월 수수료 특혜를 주고 있다는 지적받게 된 코레일유통은 이번 재계약에서 원칙대로 최저 수수료율을 적용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