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1차 투표에서 약진했던 극우 국민연합(RN)이 3위로 밀려나고 좌파연합 신민중전선(NFP)이 1당에 오르면서 국제사회의 이목을 집중시킨 프랑스 총선이 끝내 반전으로 마무리됐다.
7일(현지시간) 프랑스 일간 르몽드에 따르면, 이번 총선 결과 NFP는 전체 하원 의석 577석 중 182석을 차지해 1당에 올랐다.
1차 투표에서 참패했던 마크롱 대통령의 집권 여당을 포함한 범여권 ‘앙상블’은 168석을 얻어 2위를 기록했고, 1차 투표에서 선두였던 RN과 그 연대 세력은 143석을 확보하는 데 그쳐 3위로 밀려났다.
프랑스 대표 극우 정치인 마린 르펜이 이끄는 RN은 지난달 9일 치러진 유럽의회 선거에서 31.5% 득표율로 압승하면서 유럽에 파란을 일으켰다.
유럽의회 선거 직후 마크롱 대통령은 극우 돌풍을 막겠다며 의회를 전격 해산하고 조기 총선을 실시하는 승부수를 던졌다.
실제로 RN의 약진은 지난달 30일 치러진 1차 투표까지 이어졌다.
당시 RN은 33.2% 득표율을 기록해 1위를 차지하는 등 프랑스 안팎에서는 창당 52년 만에 처음으로 RN이 의회 1당이 되는 것은 물론 의회 과반인 289석까지 확보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극우 세력의 의회 장악을 저지해야 한다는 민심이 결집하면서 2차 투표에서 다시 뒤집혔다.
특히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 주장 킬리안 음바페, 유명 팝가수 아야 나카무라, 배우 마리옹 코티야르를 비롯해 프랑스 역사학자 1000명은 언론 호소문을 올리며 RN 반대투표를 촉구했다.
이에 더해 2차 투표 직전 NFP와 앙상블이 RN을 저지하기 위해 대대적인 후보 단일화를 이룬 것도 한몫했다.
르펜도 이번 결선 투표의 패배 원인으로 범여권과 좌파연합의 후보 단일화를 지목했다.
그는 출구조사 결과 발표 이후 TF1 방송에 “마크롱 대통령과 극좌의 부자연스러운 동맹이 아니었다면 RN이 절대 과반이었을 것”이라면서도 “(극우의) 파도는 계속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대이변의 결과에 외신들도 긴급 타전했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앞서 1차 투표에서 일찌감치 샴페인을 터트렸던 RN이 이날 2차에서는 2위는커녕 마크롱 대통령의 범여권에도 밀려나는 ‘굴욕스러운 이변’이 연출됐다고 관측했다.
영국 스카이 뉴스도 “믿기 힘든 결과”라면서 “아마도 프랑스 선거 역사상 가장 놀라운 결과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이번 선거로 “의회가 세 개의 파벌로 분열되면서 정치 상황이 더 혼란해질 것”이라며 “세계에서 가장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나라 중 하나인 프랑스가 끊임없는 변화의 상태에 놓이게 됐다”고 언급했다.
특히 BBC 방송은 이번 결과에 대해 “RN에서는 반극우 연대 탓이라고 주장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극우의 집권을 막기 위해 유권자들이 투표에 나섰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프랑스인들이 다시 한번 극우의 집권을 원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