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현지시각) 미국 NPR, PBS, 마리스트대가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6%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45%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오차범위는 ±3.5%다. 로이터와 입소스가 22~23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해리스가 44% 지지율로 트럼프(42%)를 2%p 차로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차범위는 ±3%p다. 사진=뉴시스
▲ 23일(현지시각) 미국 NPR, PBS, 마리스트대가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6%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45%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오차범위는 ±3.5%다. 로이터와 입소스가 22~23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해리스가 44% 지지율로 트럼프(42%)를 2%p 차로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차범위는 ±3%p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조 바이든 대통령의 대선 후보직 사퇴에 따라 현재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로 사실상 확실시되고 있는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양자 가상대결에서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 근소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 측은 단기적 여론변화라며 머지않아 끝날 ‘허니문 효과’라고 해석했다.

2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Reuters)이 여론조사업체 입소스와 공동으로 1천18명의 등록 유권자를 대상으로 전날(22일)부터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양자 가상대결에서 해리스 부통령은 44%를 기록, 42%인 트럼프 전 대통령을 오차범위(±3%포인트) 내에서 앞섰다.

앞서 로이터통신이 이달 1~2일 진행한 조사 결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1%포인트 우세했으며 15~16일 조사에서는 해리스 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44%의 동률을 기록했다.

특히 제3의 후보까지 포함한 다자 가상대결에서는 해리스 부통령 42%, 트럼프 전 대통령 38%, 무소속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후보가 8%를 기록하면서 그 차이는 더욱 커졌다.

다자 가상대결의 오차범위를 구체적으로 소개하지 않은 로이터통신은 해리스 부통령이 트럼프 전 대통령에 ‘오차 범위 밖’ 우위를 보였다고 보도했다.

이번 조사에서 전체 유권자의 56%는 해리스 부통령에 대해 “정신적으로 예리하고 도전에 대처할 수 있다”고 평가했으나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해서는 49%만 그렇다고 답했다.

최근 TV 토론에 나와 트럼프 전 대통령과 맞대결을 펼친 뒤 고령 논란이 재점화돼 사퇴한 바이든 대통령의 경우엔 22%만이 정신적으로 업무 능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80대의 바이든 대통령이었던 민주당 후보가 20살 이상 젊은 해리스 부통령으로 재편되면서 오히려 80세를 목전에 둔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고령 리스크 논란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는 시각마저 제기된다.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 측은 이번 여론조사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선캠프에서 여론조사를 담당하는 토니 파브리지오는 이날 캠프가 언론에 공개한 ‘해리스 허니문’ 제목의 내부 문건에서 “주류 언론의 해리스에 대한 보도는 대부분 긍정적일 것이며 이는 최소한 단기적으로 민주당 및 민주당 진영의 일부를 활기차게 할 것”이라면서 “이것은 해리스의 지지율이 올라가거나, 아니면 심지어 트럼프 전 대통령을 앞서는 여론조사를 보게 되리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 여론조사가 변화하고 해리스가 당 지지기반을 더 공고하게 할 수 있으나 그녀가 누구인지는 바뀌지 않는다”면서 “머지않아 허니문은 끝날 것이고(Before long, Harries’ honeymoon will end), 유권자들은 다시 바이든의 부조종사(co-pilot)로서 해리스의 역할에 집중하게 될 것”이라고 재차 주장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