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14일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기시다 총리는 9월에 열리는 집권 자민당 총재선거에 입후보하지 않겠다고 공식 표명했다.
이어 자민당 내 복수의 파벌에서 불거진 불법 정치자금 사건을 언급하며 “소속 의원이 일으킨 중대한 사건에 대해 조직의 장으로서 책임을 져야 한다는 데 조금의 주저도 없다”고 밝혔다.
특히 기시다 총리는 “자민당이 바뀌는 것을 보여주는 가장 알기 쉬운 첫걸음(わかりやすい最初の一歩)은 내가 물러나는 것”이라며 이번 연임 도전 포기에 대한 배경을 설명했다.
실제로 불법 정치자금 사건은 그의 지지율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NHK는 이날 “자민당 내에서는 ‘지금 정권으로는 다음 중의원 선거를 치를 수 없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었다”며 “기시다 총리는 이후 총재선거에서 새 총재가 선출된 후 총리직에서 퇴임하게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해당 스캔들로 인해 기시다 총리의 지지율은 10%로 떨어졌을 뿐 아니라 자민당이 집권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지속 경신하는 등 말 그대로 ‘날개 없는 추락’을 겪었다.
이후 기시다 총리는 사건과 관련된 파벌을 해체하고 정치자금 규정법 개정을 추진하는 등 지지율 반등을 위한 쇄신에 돌입했음에도 가장 최근 발표된 8월 조사까지 내각 지지율은 10%대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문제는 지지율에서 그치지 않고 4월에 실시된 중의원 보궐선거·5월 시즈오카 지사 선거에서는 연이어 야권에 의석을 내줘야 했고, 지난 7월에 열린 도쿄도 지사 선거에는 입후보조차 하지 못하는 참사가 벌어졌다.
이번 스캔들 이전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와 자민당 사이에 얽힌 금전 유착을 일컫는 이른바 ‘돈과 정치’ 문제로 이미 국민들의 신뢰를 한 차례 잃은 자민당은 일본판 주민등록증인 ‘마이넘버 카드’의 디지털화 과정 속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사태로 연이은 ‘병살타’를 날리기도 했다.
기시다 총리는 최저 임금 인상을 비롯한 경제 정책과 한·일 관계 정상화 등 외교 성과에 대해 "자부한다"고 했다. 하지만 중의원 임기 만료 시점이 약 1년 앞으로 다가온 지금, "기시다 총리로는 다음 중의원 선거를 치를 수 없다"는 것이 냉정한 당심이다.
한편, 기시다 총리가 자민당 총재 선거에 불출마를 공식 선언하자 이시바 시게루 전 자민당 간사장이 출마 의향을 밝혔다.
지지통신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대만을 방문 중인 이시바 전 간사장은 타이베이에서 기자들에게 기시다 총리의 불출마와 관련한 질의에 “‘자민당이 국민에 대해 확실히 책임을 취한다는 게 자신이 물러나는 것’이라는 판단이다. 훌륭한 판단”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입후보에 필요한 추천인 20명에게 추천 받을 수 있는 상황이 정리된다면 책임을 다 하겠다”며 추천인 확보가 가능하다면 입후보할 의향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