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5일(현지시간) 페어리디킨슨대학이 미국의 등록 유권자 810명을 대상으로 지난 17~20일 조사해 발표한 결과(오차범위 95% 신뢰도에 ±3.5%)에 따르면, 해리스 부통령이 50%의 지지율로 43%를 받은 트럼프 전 대통령을 앞섰다.
특히 두 후보 모두 각자의 지지층 사이에서 95%의 높은 지지율을 얻었다. 다만 무당층의 경우, 해리스 부통령은 38%의 지지율을 기록해 33%를 기록한 트럼프 전 대통령보다 높았다.
정치 성향별로는 해리스 부통령의 경우 스스로를 ‘리버럴’(liberal·자유주의자)로 규정한 유권자 사이에서 87%, 진보주의자에서는 93%의 지지를 받았다. 아울러 온건주의자 사이에서도 62%로 30%의 트럼프 전 대통령을 앞섰다.
이에 반해 트럼프 전 대통령은 보수주의자에게서 76%의 지지를 기록했고, 극우 ‘마가(MAGA·트럼프 캠프의 슬로건)’ 성향 유권자들로부터는 95%의 압도적 지지를 기록했다.
페어리디킨슨 대학은 “이 같은 지지율 양상은 인종과 젠더를 고려할 경우, 해리스 부통령의 우위가 더 뚜렷해진다”고 해석했다.
유권자들에게 인종이나 젠더를 고려하도록 요청해 조사하면 해리스 부통령의 지지율 우위가 크게 상승한 반면에, 인종과 젠더를 고려 요인에서 배제할 경우 두 후보의 지지율은 사실상 동일한 수준이었다고 대학 측은 밝혔다.
그러면서 “유권자들에게 인종이나 젠더를 고려하도록 요청해 조사하면 해리스 부통령의 지지율 우위가 크게 상승한 반면, 인종과 젠더를 고려 요인에서 배제할 시 두 후보의 지지율은 사실상 동일한 수준(essentially tied)이었다”고 전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은 남성성을 중시하는 남성 유권자 사이에서 강력한 지지 기반을 구축했고, 여성과 기타 남성들 사이에서는 해리스 부통령 지지가 우세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여론 조사를 총괄한 댄 카시노 교수는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백인과 남성성(whiteness and masculinity)에 기반해 특출난 두각을 나타냈다”며 “트럼프 전 대통령은 유색 인종 사이에서도 나쁘지 않은 지지를 보였지만, 그들이 인종에 대해 고려하기 시작하는 순간 해리스 부통령으로 광범위한 이동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지율 우위를 점하고 있는 해리스 부통령은 선거운동에 필요한 자금을 상당한 규모로 축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날 워싱턴포스트(WP)는 해리스 대선캠프를 인용해 해리스 부통령이 지난달 대선 출마를 선언한 이후 지금까지 5억4000만달러(약 7177억원)의 선거자금을 모금했다고 밝혔다.
젠 오말리 딜런 대선캠프 선거대책위원장에 따르면, 전당대회 기간 선거자금을 낸 후원자의 3분의 1이 신규 후원자였으며 신규 후원자의 3분의 2가 여성이었던 것으로도 확인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