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경찰청
▲ 서울경찰청
투데이코리아=김시온 기자 | 경찰이 딥페이크(허위영상물) 성범죄와 관련해 서울에서만 101건의 사건을 수사 중인 가운데, 총 52명의 딥페이크 성범죄 피의자를 특정했다.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은 9일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에서 열린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이달 6일 기준 101건을 수사 중이며 피의자 52명을 특정했다”라며 “41명 규모로 집중 대응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6일 기준 총 101건을 수사 중이며 피의자 52명을 특정했다”라고 밝혔다.

연령별로는 피의자 52명 중에서 10대 피의자가 39명으로 가장 많았고, 20대가 11명, 30대가 2명으로 나타났다.

김 청장은 텔레그램 조사 방향과 관련해 “사실관계 확인과 법리 검토를 진행 중”이라며 “구체적인 혐의와 범죄 사실이 특정되면 입건으로 전환해 국제공조 등 필요한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국제공조 방식과 관련해 “혐의 내용과 범죄사실이 특정되면 체포영장을 발부받을 수 있고 인터폴 수배도 가능하다"며 "프랑스 수사당국과 공조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청은 현재 청소년성보호법 및 성폭력처벌법에 대한 방조 혐의로 텔레그램에 대한 입건 전 조사에 착수해 본사 위치와 운영자, 임직원 등의 인적 사항 파악에 나섰다.

이후 혐의 사실 확인 및 법리 검토가 모두 끝나면 파벨 두로프 텔레그램 대표를 입건해 정식으로 수사할 방침이다.

한편, 서울청은 텔레그램 제제 관련 질의에는 “앱 차단 같은 행정적 제재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소관이며 경찰은 사법적 제재에 집중한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