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이정우 문화체육관광부 체육국장이 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한배드민턴협회에 대한 중간조사’ 브리핑에서 “조사는 제도 개선, 국가대표 관리, 보조사업 점검 및 협회 운영실태 점검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파리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단식에서 금메달을 딴 안세영 선수는 정상을 차지한 직후 배드민턴협회를 향해 안일한 선수 부상 관리와 무리한 대회 참가 지시, 트레이너 채용 등에 대한 불만을 토로했다.
이후 문체부는 체육계의 전면적인 개혁을 언급하며 배드민턴협회를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 조사단을 구성해 조사 및 점검에 착수했다.
이정우 국장은 “후원 용품의 사용 범위와 관련하여 협회는 유니폼뿐만이 아니라 경기력과 직결되는 라켓, 신발까지 후원사의 용품만을 일괄적으로 사용하도록 강제하고 있다”며 “현재 배드민턴협회와의 후원 계약이 2027년 3월까지인 점을 감안하여 신속한 개선을 위해 후원사와 협의 중”이라 전했다.
그러면서 “과거에는 배분금과 별도로 국가대표 선수가 국제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면 후원사로부터 직접 개인 보너스를 받았으나 현재는 그 보너스를 협회가 일괄 수령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며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협회의 전체적인 상금지원체계 확인, 다른 종목과의 비교 등을 통해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국가대표 선수 선발 방식도 주관적 평가의 기준이 높아 공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 국장은 “국가대표 선수단은 주관적 평가의 문제점뿐만이 아니라 현재 추첨으로 파트너와 상대팀을 정하는 경기력 측정 방식도 실력보다 운이 크게 작용하고 있어 문제라고 생각한다”면서 “평가위원의 점수가 추첨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순기능을 갖기는 하지만 실력과 무관한 선발을 가능케 하는 역기능도 있다”고 밝혔다.
또한 국가대표 선발은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문제라면서 “국가대표 선수단, 청소년·후보선수, 지도자, 전문가와 관계기관과의 폭넓은 의견 수렴을 통해 가장 공정한 대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실업배드민턴연맹의 연봉과 계약기관 관련 문제에 대해서도 “현행 제도가 신인 선수들의 연봉을 하향평준화하고, 실업팀의 이익에만 부합하는 불합리한 제도”라고 꼬집었다.
한편, 문체부는 이날 김택규 대한배드민턴협회 회장의 후원 물품 배임·유용 의혹에 대해서도 횡령·배임 가능성을 언급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회장에 대한 고발 사건이 수사기관에 접수된 만큼 추가적인 조사가 마치는 대로 수사 참고자료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