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총리를 선출하는 집권 자민당 총재 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9명의 후보들이 12일 자민당 당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일본 총리를 선출하는 집권 자민당 총재 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9명의 후보들이 12일 자민당 당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일본 총리를 선출하는 집권 자민당 총재 선거가 막을 올렸다.
 
일본 총리를 선출하는 집권 자민당 총재 선거가 시작된 가운데, 역대 최다인 9명의 후보가 고시하면서 피 튀기는 싸움을 예고했다.
 
12일 일본 공영 NHK에 따르면, 자민당은 오는 27일 치러질 선거에 총재 선거에 출마할 9명의 후보를 고시했다.
 
후보자로는 이시바 시게루 전 자민당 간사장, 고이즈미 신지로 전 환경상, 다카이치 사나에 경제안보담당상,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고노 다로 디지털상, 고바야시 다카유키 전 경제안보담당상, 가미카와 요코 외무상, 모테기 도시미쓰 간사장, 가토 가쓰노부 전 관방장관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자민당 총재 선거 입후보에 추천인이 필요해진 1972년 이후 가장 많은 후보가 출마하는 것으로,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열도를 들썩인 자민당의 ‘비자금 스캔들’에 따른 파벌 해체가 주효했다고 보고 있다.
 
이날 아사히신문은 지난해 연말 자민당의 불법 정치자금 문제가 불거지면서 주요 파벌 6개 중 5개가 해산을 선언했고, 이에 따라 파벌 단위로 후보자를 옹립하던 관행이 사라졌기 때문에 이같이 다양한 후보가 출마할 수 있었다고 봤다.
 
유일하게 파벌을 유지하고 있는 ‘아소파’에서 고노 전 디지털상이 출마를 선언했지만, 파벌을 이끄는 아소 다로 부총재는 다른 후보를 지지하는 것도 용인하겠다고 시사했다.
 
NHK는 “대부분의 파벌이 해산했기 때문에 각 의원의 투표 의향을 읽을 수 없고, 끝까지 결과를 전망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지금까지는 계파 단위로 누구를 지지할 것인가를 결정하고(誰を擁立するのかを決めて), 일치된 투표 행동을 취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젠 그러한 ‘결박’(縛り)이 없어졌기에 추천인만 확보하면 입후보할 수 있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또 다른 이유는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퇴임을 표명하고 나서 어느정도 시간이 있었다는 것”이라고 관측했다.
 
특히 후보군 중 유독 주목을 받고 있는 인물은 고이즈미 전 환경상이다.
 
그는 5년 넘게 장기 집권한 고이즈미 준이치로(2001~2006년 재임) 전 총리의 차남으로, 지난 2009년 중의원으로 처음 정계에 입문할 때부터 장래 총리 후보감으로 불렸다.
 
실제로 최근 진행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시바 전 간사장과 지지율 1, 2위를 다투고 있는 고이즈미 전 환경상은 40대의 젊은 나이와 준수한 외모로 대중적 인기가 높고, 과거에도 파벌에 몸담지 않았다는 이유로 자민당 개혁에 적합한 인물로 꼽힌다.
 
다만 지난 2019년 환경상 재임 당시 “기후변화 같은 커다란 문제는 즐겁고 멋지게, 섹시하게 대응해야 한다”라고 말했다가 가벼운 언행이라고 비판받았고, 태평양전쟁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신사를 정기적으로 참배하며 우익 성향도 드러내 논란의 중심에 선 바 있다.
 
아울러 고이즈미 전 환경상과 ‘2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이시바 전 간사장은 1986년 중의원 선거에서 당시 최연소 기록(만 29세) 당선 기록을 세우며 연속 12선을 기록하고 있는 자민당 중진이다.
 
방위상, 농림수산상, 지방창생담당상, 자민당 정무조사회장과 간사장 등을 지냈으나 자민당 주류인 ‘아베파’와 대립각을 세우면서 당내에서는 대표적인 비주류로 평가받고 있다.
 
이 밖에도 극우 성향의 다카이치 경제안보담당상을 비롯해 하야시 관방장관, 가미카와 외무상 등 기시다 내각의 현직 각료도 대거 출사표를 던졌다.
 
한편, 자민당 총재 선거는 국회의원 367표와 당원(당비 납부 일본 국적자), 당우(자민당 후원 정치단체 회원) 367표를 합산해 결과를 내고, 과반 득표 후보가 나오면 총재가 확정된다.
 
국회의원은 1명이 1표를 행사하며, 약 105만 명인 당원과 당우가 던진 표는 367표로 환산해 적용된다. 다만 과반 득표 후보가 나오지 않을 경우, 결선 투표를 치른다.
 
결선은 국회의원 367표, 지방당원조직 47표를 놓고 대결하는 만큼 전국 여론보다는 당내 민심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