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공화당 후보로 출마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을 ‘나치’로 규정한 민주당의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에 원색적인 표현과 함께 비난을 멈추지 않았다.
28일(현지시간) CNN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유세에서 “카멀라와 그녀의 대선 캠프의 가장 새로운 주장은 그녀에게 투표하지 않는 모든 사람은 나치라는 것이다. 우리가 나치라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아버지가 늘 나치나 히틀러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말라고 가르쳤다면서 “난 나치가 아니다. 난 나치의 반대(opposite of a Nazi)”라고 꼬집었다.
앞서 해리스 부통령은 트럼프 전 대통령을 파시스트라고 비판했으며, 민주당 부통령 후보인 팀 월즈 미네소타 주지사 또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전날 뉴욕시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개최한 유세를 1939년 같은 장소에서 열린 미국 나치 정당 유세에 비유했다.
이를 두고 트럼프 전 대통령은 “난 우리나라를 구하기 위한 해법을 제시하는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면서 “카멀라는 악마화와 혐오의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급기야 이날 그는 “해리스는 파시스트”, “해리스가 승리한다면 1929년과 같은 대공황이 올 것”이라는 ‘네거티브’ 전략으로 공격에 나섰다.
그러면서 해리스 부통령에 대한 지지를 보낸 민주당 인사들에 대해서도 거침없는 표현과 함께 비난의 수위를 끌어 올렸다.
그는 지지자들이 해리스 부통령을 “(감옥에) 가둬라”라고 외치자 자신이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대선 경쟁자였던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을 가둘 수 있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녀는 전임 미국 대통령의 아내였고 국무장관이었다. 난 그녀를 가두면 우리나라에 끔찍한 일이 될 것이라고 했는데 이제 그들이 나를 가두려고 한다”며 재차 바이든 행정부가 사법 무기화를 통해 자신을 기소하려 한다는 논리를 폈다.
또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아내 미셸 오바마가 지난 26일 해리스 부통령 지원 유세를 하며 자신을 비판한 것에 대해서도 반발했다.
그는 “누가 나에게 못되게 구는지 아느냐. 미셸 오바마다. 난 항상 친절하고 존중하려고 했다”면서 “그녀는 못됐다. 그래서는 안 된다. 그녀는 큰 실수를 한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처럼 ‘비방전’에 나선 것은 해리스 부통령도 피차일반이다.
같은 날 해리스 부통령은 미시간주 앤아버 번스 파크 연설에서 “나는 여기 있다. 여러분을 위해 여기 있다”며 “트럼프는 일하는 사람, 중산층을 위해 일하지도 않고 그들을 걱정하지도 않는다”고 지적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이 78세 고령인 점을 겨냥해 “연설에서 횡설수설한다”, “군 통수권자로서 자질이 걱정된다” 등 그의 인지력을 문제 삼고 있다.
그간 직접적인 네거티브 방식의 선거 방식은 자제해 왔던 해리스 캠프 측은 선거가 종점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현 상황에서 판세에서 밀린다고 판단되자 이같이 ‘비방전’에 뛰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이날까지 전미 및 주(州) 단위 각종 여론조사를 평균한 결과, 선거의 향방을 좌우하는 7개 경합주 가운데 5개주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율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선벨트 4개 경합주 가운데 노스캐롤라이나(1%포인트·선거인단 16명)·조지아(2%포인트·16명)·애리조나(2%포인트·11명)에서 해리스 부통령에 앞서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