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태용 국정원장이 7일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열린 비상계엄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 참석해 있다. 2024.12.07. 사진=뉴시스
▲ 조태용 국정원장이 7일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열린 비상계엄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 참석해 있다. 2024.12.07.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이다솜 기자 |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고 있는 경찰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에게 소환 조사 통보를 받은 여인형 전 국군 방첩사령관이 비상계엄을 사전 기획하고 준비했다는 부분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님을 분명히 밝힌다”고 주장했다.
 
여 전 사령관은 9일 국방부 기자단에 보낸 서면 입장문에서 “방첩사는 계엄령 선포 후 그 사실을 알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여 전 사령관은 “방첩사는 기무사 해체 트라우마로 부대원 모두가 계엄령에 매우 민감하다”며 “만약 사령관이 미리 알고 준비했다면 시작도 하기 전에 모두 노출된다”고 언급했다.
 
이어 “부대 출동은 새벽 1시가 넘어서였다. 국회나 선관위 근처까지 가다가 복귀했다”며 “이것은 방첩사가 계엄령을 사전 알지 못하였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재차 주장했다.
 
또한 “그 이후 일련의 조치들은 매우 신중하고 최소한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은 수사를 통해서 곧 밝혀질 것”이라며 “지금 언론에는 심지어 대북작전도 방첩사가 기획했다고 하는데, 이 또한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거듭 부인했다.
 
앞서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0월에 발생한 ‘평양 무인기’ 사건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지시에 따라 우리 군이 보냈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박 의원은 “김 전 장관의 고등학교 후배인 여인형 전 사령관이 있던 국군방첩사령부가 실무적으로 기획한 것으로 보인다”며 “사실상 계엄을 전제로 한 것 아니겠나”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의혹이 일자 통일부도 곤혹스러운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사실관계가 아직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구체적인 답변에는 말을 아꼈다.
 
합동참모본부도 박 의원의 주장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 기존 입장과 동일하다”며 재차 기존의 확인해드릴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