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혁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CJ ENM이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5조2314억원, 영업이익 1045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전년 대비 19.8% 늘었으며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CJ ENM 관계자는 “엔터테인먼트 사업은 티빙의 성장과 글로벌 콘텐츠 유통 확대에 힘입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며 “커머스 사업은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고성장 기반 플랫폼 경쟁력 강화에 따라 외형과 수익성 모두 견조하게 성장했다”고 밝혔다.
사업부문별로는 우선 미디어 부문의 매출액이 1조3732억원으로 전년 대비 8.8% 성장했다.
특히 티빙의 연간 매출이 4353억원으로 전년 대비 33.4% 크게 증가했다. 이에 대해 ‘2024 KBO 리그’ 중계, 광고 요금제 도입 등이 효과를 보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영화드라마 부문 매출 또한 1조704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56.1% 큰 폭으로 뛰었다.
특히 ‘세브란스 시즌2’, ‘치프 오브 워’ 등 글로벌 인기 시리즈를 딜리버리 한 피프스시즌의 사업 정상화 등 히트 IP의 글로벌 플랫폼 동시 방영 및 콘텐츠 라이브러리 해외 패키지 판매 효과가 주효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음악 부문은 ‘제로베이스원’의 앨범 흥행, ‘izna’, ‘ME:I’ 등 아티스트들의 성공적 데뷔에 힘입어 매출액이 3.8% 성장한 7021억원을 기록했다.
커머스 부문은 매출액이 1조4514억원, 영업이익 832억원을 기록해 각각 전년 대비 8.5%, 20.1% 신장했다.
특히 모바일 라이브커머스(MLC)의 거래액이 전년 대비 96% 증가하는 등 전체 실적을 견인하는 모습을 보였다.
회사 관계자는 “MLC 강화를 중심으로 TV와 e커머스를 유기적으로 연계한 ‘원플랫폼’ 전략 효과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며 “플랫폼 경쟁력 강화로 트렌디한 신진 브랜드들이 대거 입점하면서 상품 경쟁력이 고도화됐다”고 설명했다.
윤상현 CJ ENM 대표이사는 “콘텐츠 산업은 더 이상 국경도, 언어도, 장르간 경계도 없어 어느때 보다 혁신적 시도와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며 “K콘텐츠 제작 생태계를 선도해 온 ONLYONE IP 정신을 기반으로 2025년에는 미래를 향한 새로운 챕터를 열어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