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형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윤한홍 국회 정무위원장은 18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홈플러스 관련 현안 질의에서 “MBK파트너스가 기습적으로 회생 절차를 신청하고 그런 과정을 보게 되면 납득하지 못할 요소가 다 나온다”며 “여기서 항변하지만 국민들이나 의원들이 볼 때는 납득이 안 되는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의 사재 출연에 대해서도 “얼마만큼 내서 어떻게 할 건지 오늘 다 답변하라”며 “국민 피해에 대해서 민간 영역이라고 해서 어물쩍 넘어가면 안 된다”고 강하게 압박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도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인수 후에 경영에 대한 투자가 없었다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노후 시설 개선도 안 했다”며 “부동산 매각에만 올인했다. 돈 되고, 잘 나가는 매장을 계속 매각을 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거기서 만든 돈으로 차입 비용을 갚아나갔다. 아주 악질적인 사모펀드”라고 강하게 지적했다.
민주당에서도 MBK파트너스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다.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를 인수한 일련의 과정과 그 이후에 한국 경제 정말 도움이 됐냐고 따질 때 그런 효과를 찾기 어렵다”며 “MBK파트너스가 경영적으로 홈플러스의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한 게 있냐”고 반문했다.
같은 당 강준현 의원도 “MBK파트너스의 문제는 가맹점에 책임 떠넘기기, 구조조정, 건실 기업을 인수해 대출받기 등이 있다”며 “결국 단기 고수익만 좇고, 국부 유출의 우려가 있고, 경영 능력이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는 이날 국회에 출석해 “코로나를 지나면서 마트 매출이 1조원 줄었다”며 “‘A-’ 등급은 기업어음이 거의 발행이 안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3개월 내 부도를 막을 방법이 없었다”고 해명했다.
다만, 김병주 회장의 사재 출연에 대해 “소상공인에 대한 대금지급을 앞당기기 위한 것”이라면서도 구체적인 시기와 규모에 대해서는 답하지 않았다.
김승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신청 당일 서울회생법원의 기업회생절차 개시 결정이 나온 것도 의심스럽지만, 준비를 언제부터 했는지가 더 궁금하다”며 “제출 서류가 50가지가 넘는데 강등 이후 발급을 마친 게 말이 안 된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이인영 의원도 “28일 금요일 강등 이후 3월 1일은 3·1절인 토요일, 2일은 일요일, 그리고 3일은 임시 공휴일이었다”며 “관공서 업무 중단 시점에 서류를 준비한다는 게 말이 안된다”고 지적했다.
다만, 김광일 부회장은 이에 대해 “신용등급 강등과 동시에 임원들과 긴급 대책 마련에 나섰고, 3월 1일 더 이상 방법이 없겠다고 생각해서 준비했다”며 “공식적으로 결정한 이사회 결의는 3월 3일”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그전에는 미리 준비한 게 없다”며 “3월 1일 오후에 저희 임원들끼리는 더 이상 방법이 없겠다고 생각을 해서 그때부터 준비를 본격적으로 했다”고 주장했다.
현장에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