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지난 27일 공개한 ‘2025년 정기재산변동 신고 자료’에 따르면, 22대 국회의원 및 국회 소속 고위공직자들이 신고한 가상자산 보유액은 총 12억6733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와 비교해 약 3배 증가한 금액이다.
특히, 가상자산 신고 건수가 크게 급증했다.
이번에 신고된 관련 재산 건수는 총 46건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48.39% 증가했다.
국회에서 가장 많은 가상자산을 보유한 인물은 김인영 국회 정책연구위원으로 나타났다. 그는 총 5억3052만원의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를 이어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억6415만원의 가장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3번째로 많은 가상자산을 보유한 인물은 박수민 국민의힘 의원이었다.
박 의원이 보유한 가상자산은 훈민정음해례본 대체불가능토큰(NFT) 1개로, 해당 가상자산은 훈민정음해례본을 소장한 간송 미술관이 지난 2021년 100개 한정으로 발행한 문화재 기반의 NFT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국회 고위공직자들의 가상자산 보유액 증가를 주목하고 있다. 앞서 국회는 지난 2023년 이른바 ‘김남국 코인 게이트’로 논란이 휩싸인 바 있기 때문이다.
당시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은 거액의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국회 상임위 도중 거래를 진행해 논란이 일자 탈당한 바 있다.
또 김 전 의원이 99억원에 달하는 가상자산 보유 사실을 은폐하려 허위로 재산 신고한 혐의로 법정에 섰으나, 1심에서 무죄 선고를 받기도 했다.
이에 국회에서 가상자산 재산 공개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공직자 가상자산 재산등록을 의무화하자는 공직자 윤리법 개정안이 발의됐다.
이처럼 가상자산이 제도권으로 들어서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친 가상자산 정책 등으로 국회에서 가상자산에 대한 인식이 달라졌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가상자산이 공직자 재산 신고에 포함되는 등 제도권에 들어오는 모습”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친 가상자산 정책 등의 영향이 국내에도 확산되는 모습”이라고 언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