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해 10월31일 도쿄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기자회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해 10월31일 도쿄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기자회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곧 시행될 것으로 예고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두고 “계속해서 일본을 제외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할 것(強く求めていく)”이라고 말했다.
 
1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 현지 언론을 종합하면, 이시바 총리는 2025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예산안 통과를 맞아 이날 총리 관저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국내 산업·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철저하게 조사해 필요한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대응 조치의 구체적인 내용은 여당과 시급히 조율해 나가겠다는 의사도 나타냈다.
 
최근 일본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 상호 관세 등을 예고한 이후 미국 측과 협의를 지속해 왔으나 아직 관세 부과 대상 제외 등의 성과를 올리지 못했다.
 
이에 이시바 총리는 미국 관세 방침에 대응해 전국 1000곳에 특별 상담창구를 설치해 중소기업 의견을 듣고 우려를 불식시키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업 활동에 영향이 발생하는 경우 자금 조달 등에 만전을 기하도록 할 것”이라며 경영 관련 조언과 지원책을 소개하는 프로젝트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관세 협의에 직접 나설 가능성에 관한 질의를 두고선 “경제산업성, 외무성, 농림수산성이 미국 담당자와 협의 중”이라며 일단은 각료 간 논의가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담당 각료 간 논의로 (관세 협의의) 전체상이 보이는 시점에서 미국에 가는 것이 적당하다고 판단되면 주저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이시바 총리는 내각 지지율 급락 원인이 됐던 ‘상품권 스캔들’과 관련해 “모두 내 책임(すべて私の責任だ)”이라면서 “국민 정서로부터 떨어졌다는 것을 솔직하게 인정한다”며 재차 사죄했다.
 
실제로 지난달 닛케이의 여론조사 결과, 이시바 내각 지지율은 직전 조사 대비 5%포인트(p) 감소한 35%로 집계된 바 있다.
 
그러면서도 야당이 요구하는 기업·단체의 정당 헌금(후원금) 금지에 대해서는 완전히 금지하기보다는 공개를 통해 투명성을 제고하는 편이 낫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