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여‘명실상부 2위 후보’ 이낙연 전 총리, 대선 출마 기로···새민주 “이재명 막아야”성·교육·인권·학부모 시민단체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디지털 성범죄 근절, 청소년을 위한 정책 총력 대응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청소년·여‘명실상부 2위 후보’ 이낙연 전 총리, 대선 출마 기로···새민주 “이재명 막아야”성·교육·인권·학부모 시민단체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디지털 성범죄 근절, 청소년을 위한 정책 총력 대응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김유진 기자 | 지난해 중앙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이하 중앙 디성센터)의 성범죄 피해 지원을 받은 건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딥페이크 등 디지털 기술 활용 합성·편집 피해 건수가 크게 증가했다.
 
10일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의 ‘2024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만305명의 디지털성범죄 피해자가 중앙 디성센터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14.7% 증가한 것으로 총 33만2000여건의 상담, 삭제지원, 수사·법률·의료지원 연계 등 서비스 지원이 이뤄졌다.
  
중앙 디성센터와 수사기관 간 수사·법률지원의 연계 건수 또한 3826건으로 전년 대비 110.3% 크게 늘었으며 불법촬영물 등에 대한 삭제지원 건수 역시 30만237건으로 같은기간 22.3% 증가했다.
 
중앙 디성센터 지원 피해자의 성별에 따른 건수로는 여성이 7428명으로 72.1%였으며 남성이 2877명으로 27.9%였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5242명(50.9%)로 가장 많았으며 10대도 2863명(27.8%)으로 SNS, 메신저, 익명기반 플랫폼을 활발히 이용하는 연령대의 피해가 집중됐다.
 
피해 유형별로는 유포불안이 4358건(25.9%)으로 가장 많았으며 불법촬영 4182건(24.9%), 유포 2890건(17.2%), 유포협박 2244건(13.3%) 등 순이었다.
 
여가부 관계자는 “디지털성범죄는 물리적 성폭력과 달리 피해 발생 이전에도 심각한 심리적 불안을 초래하는 특징이 있다”며 “특히 불법촬영, 이미지 합성 기술(딥페이크) 등은 피해자가 즉시 인지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어 유포불안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디지털 기술 활용 합성·편집 피해 건수가 지난해 1384건 발생해 전년 대비 227.2% 크게 늘었다. 연령대에 있어서도 10·20대의 피해 건수가 92.6%로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피해 유형으로는 여성의 경우 유포불안이 323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남성은 불법촬영이 1813건으로 최다였다. 합성·편집 피해의 경우 여성의 비중이 96.6%로 남성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피해자와 가해자 관계 유형으로는 일시적 관계(채팅상대, 일회성 만남 등)이 28.9%로 가장 많았다. 뒤로는 모르는 사람 26.5%, 관계 미상 24.7%, 사회적 관계 10.0%, 친밀한 관계 9.7%, 가족관계 0.2% 순이었다.
 
아울러 지난해 피해영상물 삭제지원 30만237건 중 25.9%가 피해자의 성명, 연령 등 개인정보가 동반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년 대비 36.0% 증가한 수치다.
 
여가부 관계자는 “지난해 개정된 성폭력방지법 시행으로 피해자의 신상정보도 삭제 지원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피해자 신상정보 유포로 인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영숙 여가부 차관은 “매년 발간하는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를 통해 피해 특성은 물론 지난해 이미지 합성 기술(딥페이크) 성범죄 대응을 위한 정부와 지원기관의 노력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디지털성범죄 피해를 선제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대응 방안을 끊임없이 강구하여 피해자 보호·지원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