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이들은 25일 경기 성남시 판교역 앞 광장에서 AI 기술 패권과 관련한 ‘미래를 여는 단비토크’를 갖고 AI와 반도체 기술을 이끌 리더십에 대해 대담을 나눴다.
먼저 안 후보는 AI 패권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면 “인공지능기본법을 매년 개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인공지능기본법을 EU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통과시킨 자랑스러운 나라”라며 “윤리와 기술 발전 두 부분을 잘 조화시키고 균형을 맞출지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짚었다.
특히 “매년 이 법을 살펴보고 상황에 맞춰 계속 개정해야 된다”며 “다른 법은 한 번 만들면 거의 그대로 평생 가는 법도 있지만, 인공지능기본법은 최소한 1년마다 살펴 보는게 경쟁력 향상시킬 수 있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이를 두고 “AI 개발을 위한 윤리기준을 다른 나라보다 조금은 느슨히 가져가면 좋겠다”고 제시했다.
그는 “기본법은 마련됐지만, 우리가 다른 나라에 비해 어느 정도 규제와 어느 정도 윤리적 기준을 갖고 가느냐가 산업 발전 가능성을 가를 것”이라며 “예컨대 자율주행차 알고리즘 AI를 개발하는 사람이 (AI의 판단을) 책임져야 된다, 감옥에 갈 수 있다고 하면 누가 개발하려 하겠나. 소비자 입장에서도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AI가 전국을 돌아다닌다면 얼마나 두렵겠나”라고 지적했다.
안 후보는 “한국형 AI 모델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나라마다 번역만 해서는 언어의 뜻을 그대로 전달할 수 없다. 나라별로 문화도 다르다”고 진단했다. 이 후보도 “AI 모델은 국가별로 특화해 발달시켜야 한다는 생각에 동의한다”고 안 후보의 입장에 동조했다.
또, 이들은 트럼프 정부의 미국 우선주의와 관세 장벽을 두고도 한국 산업의 강점을 살린 거래가 필요하다고 비슷한 의견을 냈다.
안 후보는 “최근 현대차가 미국에 31조원을 투자하기로 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 정의선 회장을 불렀다. 그런데 얻은 게 뭔가”라고 반문한 뒤 “오히려 각개격파 당하는 게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제공할 수 있는 메모리반도체라든지,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조선산업 등 이런 걸 모아서 패키지딜을 해야 한다”며 “우리가 줄 수 있는 걸 개별적으로 (협상)할 게 아니라 (같이) 요구하면서 딜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제 아이디어”라고 설명했다.
이 후보는 “공급망에서 우리만이 우위를 가진 상품이 많을수록 트럼프 대통령과 관세·무역전쟁에서 유리하지 않을까 싶다”며 “그런 상품을 늘리는 것 외엔 방법이 없다. (미국 무역 정책에) 미국 소비자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 각인시킬 수밖에 없다”고 짚었다.
한편, 안 후보는 서울대 의대 박사 과정 재학 중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프로그램 ‘V3’를 개발하고 안철수연구소(안랩)를 창업했다.
이 후보는 서울과학고 졸업 후 미국 하버드대에서 컴퓨터과학 및 경제학을 전공했다.
현장에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