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25일 데이트레이딩이 급증하고 위안화 가격 기준 금 선물 거래도 기록적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금값이 기록적 상승세를 나타내며 중국에서 점점 더 큰 파장을 불러오고 있다”며 “(중국 내) 소매 수요를 부추기고, 상하이 거래소에서 전례 없는 거래량을 기록해 중국당국의 경고까지 야기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지난 3거래일 동안 상하이 선물거래소의 거래량은 평소 규모보다 대폭 상회하는 하루 100만 계약을 넘어서기도 했다.
또한 선물 거래와는 별도로 이달 중국의 금 상장지수펀드(ETF)에 순유입된 자금은 지난해 총보유액을 돌파했다.
이를 두고 시장에서는 중국 투자자들의 금 수요가 국제 금값 상승을 가속시키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존 리드 세계금위원회(WGC) 수석 시장 전략가는 “엄청난 거래량이 증가했음에도 미결제 약정 거래량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며 “이는 데이트레이딩이라는 것을 말해준다”고 설명했다.
특히, 금 가격 상승은 예상보다 장기화되며 온스당 500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앞서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와 JP모건은 국제 금값이 내년 중반에 온스당 400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치를 제시한 바 있다.
샘슨 리 디스커버리 펀드 애널리스트는 “중국인들이 (미·중간)지정학적 긴장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고 싶어 하기 때문에 금 가격 강세장이 오랜기간 지속될 것”이라며 “중국 경제가 상당히 좋지 않다는 것을 투자자들 모두가 알고 있고,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더욱 악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한편, 국제 금값은 지난 22일 기준 장중 온스당 3500.05달러에 거래되는 등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