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펠란 장관은 방일 전 2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와의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나를 만날 때마다 ‘조선, 조선, 조선’이라고 거듭 말한다”며 “20일에도 문제 메시지로 (조선 관련 내용이) 왔다. 나를 해군장관으로 임명한 건 조선 분야 활성화를 위해, 전과 다른 접근법을 취하기 위해서다”라고 전했다.
특히 그는 “선박 건조·수리, 현대화하는 능력은 극히 국익에 중요하다”며 “일본, 한국 같은 조선에 뛰어난 동맹국과 협력하는 게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즉시 행동할 필요가 있다. 지금이 분기점(tipping point)”이라며 위기감도 내비쳤다. 특히 세계 조선 2위 한국, 3위 일본과 한 몸이 돼 미국의 조선업 부활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펠란 장관은 “선박을 건조하고 해상 항로를 유지할 능력이 없어지면 초대국이라고는 할 수 없다”며 연방 의회도 초당적으로 이러한 입장을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방일해 “일본 조선기업과 협력할 방법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일본 기업들이 미국에 와서 선박을 신속하게 건조하는 것도 검토해 달라. 합작, 공급망 협력 등 선택지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펠란 장관은 상업 선박을 군사용으로 전환할 수 있는 설계로 제조하도록 일본에 제안했다. 이외에도 일본 기업의 미국 서해안 조선업 투자를 요청했다.
그는 이러한 제안을 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매우 마음에 들어 하고 있는”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대형 연락선, 쇄빙선 등의 군사용 전환을 염두에 둔 것으로 읽힌다.
이어 “중국은 상업용 선박을 군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며 “우리는 이런 일을 해오지 않았으나 매우 중요하다. 상업용, 군사용 양쪽 요소를 모두 포함시켜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닛케이에 따르면, 세계 조선 능력의 50%는 중국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의 200배가 넘는 규모다. 군사용, 상업용 상관없이 국가 주도로 조선업이 추진되고 있다. 해군 규모에서도 중국은 미국을 따돌리고 있다.
펠란 장관은 미일 관세 협상 과정에서 조선 관련 내용이 들어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한편, 펠란 장관은 일본을 방문해 28일 나카타니 겐 방위상 등과 회담한 뒤 일본 기업 면담, 조선소 시찰도 계획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이번 주 내로 방한할 것으로도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