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혁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9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최근의 환율 변동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일반적으로 원·달러 환율 상승은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보고서는 “달러화 강세로 발생하는 원·달러 환율 상승과 국내 요인으로 원화 가치가 전 세계 통화 대비 하락하며 발생하는 원·달러 환율 상승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수 있다”며 “코로나19 위기 이후 미 달러화 요인의 영향이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 달러화 요인 영향은 단기간에 크게 나타날 수 있으며 국내 요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영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DI는 환율 변동에 따른 수입품 가격 반응 분석을 위해 총 50개 국가, 약 1만개 품목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환율이 강달러 요인으로 상승할 경우 수입품 가격 반응은 점차 축소됐으나 국내 요인으로 상승할 경우 영향이 점진적으로 확대됐다.
구체적으로 달러화 요인으로 환율이 1%p(포인트) 오를 경우 미국 제외 국가로부터의 수입품 가격이 동 분기 0.49%p 상승한 후 영향이 점차 줄어들며 1년 누적으로는 0.25%p 증가에 그쳤다.
반면 국내 요인으로 환율이 1%p 오를 경우, 달러 제외 통화 대비 원화 환율도 함께 1%p 올라 수입품 가격이 동 분기에 0.58%p 상승했으며 1년 누적으로는 0.68%p로 상승폭이 더 커졌다.
보고서는 “최근 강달러에 따른 환율 상승이 단기적으로는 수입품 가격을 상승시켜 소비자물가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하겠으나 그 지속성과 파급력은 국내 요인에 따른 환율 상승보다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환율 변동에 따른 소비자물가 반응 분석에 있어서도 미 달러화 요인과 국내 요인에 따라 누적 변화에 있어 다른 결과가 도출됐다.
분석 결과, 미 달러화 요인과 국내 요인으로 환율이 1%p 상승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각각 동 분기에 0.04%p 정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1년 누적 기준으로는 미 달러화 요인에 따른 환율 1%p 상승이 소비자물가를 약 0.07%p 상승으로 이어졌으나 국내 요인으로 인한 동일한 환율 상승은 소비자물가를 약 0.13%p 올려 더 크게 뛰는 모습을 보였다.
보고서는 “해당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환율 변동의 소비자물가 영향을 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2024년 2분기 이후 국내 요인의 영향은 큰 변동 없이 유지된 반면 미 달러화 요인의 영향은 2025년 1분기에 크게 확대됐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 소비자물가는 원·달러 환율 변동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1%p 올랐으며 미 달러화가 0.20%p 상승에 기여했다.
올해 1분기의 경우 원·달러 환율의 변동이 소비자물가를 0.47%p 상승시켜 국내 요인이 유지됐음에도 달러화의 영향이 더욱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어 보고서는 원·달러 환율 유지(1452.7원), 상승(1500원), 하락(1400원) 시나리오에 따른 물가 전가효과 전망에 대해서 분석했다.
시나리오별 결과, 환율이 유지될 경우 물가 상승 압력은 점진적으로 해소될 것으로 예상됐으며 환율이 하락할 경우, 물가상승률이 2분기부터 빠르게 둔화돼 4분기에는 1분기 대비 최대 0.44%p 하락할 것으로 관측됐다.
환율이 상승할 경우에는 물가상승률이 4분기에 1분기 대비 최대 0.24%p까지 추가 상승이 점쳐졌으나 이후 점차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강달러 요인에 따른 환율 상승은 단기적으로 소비자물가 상방 압력으로 작용하나 지속성과 파급력은 국내 요인보다 제한적”이라며 “시나리오 분석 결과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지 않는다면 물가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2%)를 유의하게 상회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고 내다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