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financial literacy)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인 금융이해력은 65.7점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2년 66.5점과 비교해 소폭 하락한 것이다.
이번 조사는 ‘금융 지식’, ‘금융 행위’, ‘금융 태도’ 3개 분야에 대해 지난해 9월 2일부터 11월 1일까지 만 18~79세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부분별로 살펴보면 금융태도가 지난 2022년과 비교해 1.3점 상승한 53.7점을 기록했다. 반면, 금융지식과 금융행위는 각각 1.9점, 1.1점 하락했다. 다만, 2023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값 62.7점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금융이해력 점수는 계층별로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는 지난 2022년과 비교해 3.2점 낮아진 62.6점을 기록한 반면, 노후준비와 자산운용에 관심이 많은 50, 60대의 경우 각각 0.9점, 0.3점 상승한 67.9점, 64.7점으로 집계됐다.
소득계층별로 살펴보면 고소득층의 금융이해력 점수가 68.8로 가장 높았으며, 중소득층은 66.8점, 저소득층이 59.7점으로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의 금융지식 항목 가운데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실질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도 점수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하며 전체 금융이해력 점수를 끌어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2년 높은 물가상승률이 이어질 당시 해당 점수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가 이번 조사에서 예년 수준으로 하락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난해 물가상승률 둔화에 따른 일반인들의 인플레이션 관심도 하락이 조사 결과에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지식 부문에서 인플레이션이 실질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고 금융행위 부문에서는 재무관리 활동이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관련 부분에 대한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됐다”고 전했다.
이어 “가치관이 형성되기 이전 금융교육을 실시해 금융태도 개선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며 “청년층 대상 1대 1 재무상담 실시 및 ‘e-금융교육센터’ 등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합리적 재무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금융교육 콘텐츠 제공을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