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현준 총괄팀장
back@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매출 79조14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30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0.05% 증가한 것으로,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도 같은 기간 대비 1.2% 증가한 6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컨센서스를 큰 폭으로 상회한 것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77조1176억원, 영업익 4조9613억원이었다.
회사 측은 이를 두고 갤럭시 S25의 판매 호조가 전체 실적을 이끌고, D램 출하량이 가이던스를 상회하면서 호실적을 거둔 것으로 보고 있다.
부문별로 보면, 디바이스 경험(DX) 부문은 갤럭시 S25 시리즈와 네오(Neo) QLED, 고부가가전의 판매 증가에 힘입어 매출이 전분기 대비 28% 증가한 51조7000억원을 기록했다.영업이익도 4조7000억원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반도체(DS) 부문 매출은 고대역폭메모리(HBM) 판매 감소 등으로 전분기 대비 17% 줄어든 25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1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미국의 반도체 수출 통제 등의 영향을 받은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시스템LSI는 주요 고객사에 플래그십 시스템온칩(SoC)를 공급하지 못했으나 이미지센서 등 다른 제품 판매가 확대돼 소폭 개선됐다.
전장 사업을 담당하는 하만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조4000억원, 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계절적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제품 포트폴리오 개선을 통해 전년 대비 성장세를 유지한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사업을 담당하는 SDC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5조9000억원과 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는 이번 실적과 관련해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판매 호조와 고부가가치 가전제품의 판매 증가에 따라 매출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2분기 경영환경에 대해서는 “글로벌 무역환경 악화와 경제 성장 둔화 등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실적 예측이 어렵다”면서도 “성장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현재의 불확실성이 완화될 경우 하반기에는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도 지속해 1분기 연구개발비로 역대 최대 규모인 9조원을 투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