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 사진=AP/뉴시스
▲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 사진=AP/뉴시스
투데이코리아=김준혁 기자 |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올해 말 은퇴를 선언하며 60년 만에 버크셔 해서웨이(이하 버크셔) 회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워런 버핏 회장이 3일(현지시간)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개최된 버트셔 연례 주주총회에서 은퇴를 발표했다.
 
이번 버크셔의 주총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지자 버핏 회장의 발언에 관심이 쏠리며 전날 행사에만 역대 가장 많은 1만9700명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버핏 회장은 지난 2021년 그레그 아벨 버크셔 비(非)보험 부문 부회장을 후계자로 지명한 바 있으나 은퇴 계획을 밝힌 것은 없었다.
 
다만, 버핏은 이날 은퇴계획 발표와 함께 아벨 부회장을 오는 4일 이사회에서 올해 말 최고경영자(CEO) 자리에 추천할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그는 아벨 부회장을 후계자로 삼고 버크셔 주식을 전혀 팔지 않을 계획이라고 공언했다.
 
버핏 회장은 “버크셔의 전망이 저보다 아벨 부회장의 경영 하에서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하기에 모든 주식을 보유하기로 한 결정은 경제적 결정(economic decision)이라고 덧붙이고 싶다”고 말했다.
 
아울러 버핏 회장은 주총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그는 “무역이 무기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세계 다른 나라들이 더 번영할수록 우리가 손해 보는 게 아니라 우리도 그들과 함께 더 번영할 것이다. 우리는 우리가 가장 잘하는 것을 하고 다른 나라들도 자기가 가장 잘하는 것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버핏 회장은 지난달 증시 급락에 대해서도 “지금은 극적인 베어마켓(약세장)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장이 하락할 경우 겁먹고 시장이 오를 때 흥분하는 사람이라면 주식시장은 참여하기에 끔찍한 곳”이라며 “사람들이 감정이 있다는 걸 알지만 감정이 투자를 좌우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
 
한편 버크셔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 96억달러(약 13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14% 줄어든 수치다.
 
다만, 현금성 자산은 1분기 말 기준 3477억달러(약 487조원)으로 지난해 말(3342억달러)에서 증가했다.
 
버크셔는 실적 보고서를 통해 “국제 무역 정책과 관세의 변화가 회사의 영업이익 및 투자자산의 가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현재로선 이런 변화가 재무제표에 미칠 영향을 신뢰할 정도로 예측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