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6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품목별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보리쌀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43.7% 급등해 1983년 6월(44.6%) 이후 42년 만에 가장 큰 상승률을 기록했다.
보리쌀은 매년 겨울에 파종해 이듬해 5~6월 수확 시기를 거치는데, 2023년에는 파종과 생육, 수확 시기에 폭우 등과 같은 이상기후가 집중되면서 생산량이 급감했다.
이로 인해 지난해 7월부터 보리쌀 가격은 9개월 연속 두 자릿수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으며, 올해 들어서도 1월 37.0%, 2월 40.4%, 3월 41.8%, 4월 43.7% 등으로 상승 폭이 커졌다.
특히 보리쌀뿐 아니라 쌀, 현미, 찹쌀, 콩 등 주요 곡물 가격도 줄줄이 상승했다.
쌀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4.5% 올랐으며, 현미는 14.9%, 찹쌀은 26.8%, 콩과 혼식곡은 각각 4.5%, 8.5% 상승했다.
특히 쌀은 지난해 8월부터 8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다 올해 4월 처음으로 상승세로 전환한 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1%)을 크게 웃돌았다.
이와 관련해 기획재정부는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체감물가 안정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농축수산물·석유류 등 민생과 밀접한 주요 품목의 수급·가격 변동 및 유통상황을 상시 점검하고 필요시 신속히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부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