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현준 기자
back@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두 후보는 7일 서울 종로구 한 식당에서 배석자 없이 만나 1시간 15분 가량 회담을 진행됐다. 이날 회동에 앞서 한덕수 후보는 단일화 시점을 오는 11일 전으로 못박고 실패시 본 후보 등록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 배수의 진을 쳤다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두 후보는 합의 사항에 이르지 못한 채 회동이 결렬됐다.
김 후보는 이날 회동을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나름대로 생각하는 단일화 방안에 대해 말씀드렸는데, 한 후보는 ‘11일까지 진전이 없으면 등록을 안 하겠다’ ‘당에서 하자는 대로 하겠다’는 말씀을 반복해서 의미 있는 진척이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가 단일화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오후 6시에 (약속이) 돼 있었는데 4시30분에 긴급 회견을 했고, ‘그것이 내용의 모두이고 다 결정된 것이기 때문에 변경될 것도 없다’ 그러셔서 대화가 조금 어려웠다”고 주장했다.
또 “‘다시 만날 필요가 있지 않겠느냐’고 하니, ‘만날 필요가 더 있겠냐, 당에 다 일임하고 긴급 회견문이 전부다’라고 그랬다”고 전했다.
한 후보 측 이정현 대변인도 이날 회동을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 후보에게 물어본 결과 합의된 것은 없다고 한다”며 “두 분이 다시 만나자고 얘기한 것도 없었던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회담장에서 먼저 퇴장 한 후보는 별도의 언급 없이 떠났다.
김 후보의 비서실장을 맡고 있는 김재원 전 의원은 회동 중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황우여 전 선거관리위원장을 찾아가 ‘오늘 저녁 김 후보와 한 후보의 회동 결렬이 명확하다’”며 “저녁에 선관위를 다시 열어 내일은 후보자 토론, 모레부터 여론조사를 실시해 후보를 정하는 절차를 (다시) 진행해달라고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를 두고 “지금 두 분이 만나서 후보 단일화는 어떻게 할 것인지, 대한민국에서 어떤 역할을 맡으실지에 대해 대화를 하고 계신데 당에서는 김 후보를 끌어내리려 하고 있다”며 “그게 사실이라면 당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당이 원하는 대통령 선거의 모습은 어떤 건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국민의힘 측은 이와 관련해 취지가 상당히 왜곡돼 전달됐다는 입장이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같은 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권 비대위원장은 황 전 선관위원장을 만나 ‘오늘 오후에 만나게 돼 참 다행이고 좋은 결실을 맺으면 좋겠다. 그러나 시간이 없기 때문에 만약 두 후보가 단일화에 대해 합의하든, 결렬되든, 선관위가 지금까지 기능을 하고 있으니 그 이후 진행될 부분을 준비해주면 좋겠다는 취지로 말씀하셨다’고 한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단일화에 합의하더라도 (그 이후 절차는) 선관위 소관 사항으로 넘어가는 것이니, 황 선관위원장이 TV 토론 방식이나 여론조사 방식과 같은 부분에 대해 미리 선관위원들에게 공지도 해놓고 준비했으면 좋겠다는 취지로 설명하신 것 같다”고 부연했다.
또 “혹시 잘 안된다면 두 후보에게 당에서도 반드시 단일화가 성사되길 바란다는 일종의 의지를 보여주는 건 필요하겠다는 생각 정도는 권 비대위원장이 갖고 있지만, 두 사람이 만나기 한 시간 전에 ‘결렬될 게 확실하다’는 말을 상식적으로 어떻게 하겠나”고 주장했다.
현장에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