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혁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8일 한국은행의 ‘2025년 4월말 외환보유액’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046억7000만달러(약 563조9076억원)으로 전월 대비 49억9000만달러 줄었다.
외환보유액은 지난 2020년 4월 4049억8000만달러 이후 5년 만에 가장 적었으며, 감소폭도 지난해 4월 59억9000만달러 줄어든 이후 가장 많이 감소했다.
한국은행은 이에 대해 국면연금과의 외환스왑거래, 분기말 효과 소멸로 인한 금융기관과의 외화예수금 감소 등에 기인했다고 밝혔다.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왑거래의 경우, 스왑거래 기간 중 외환보유액이 거래금액만큼 줄어들지만 만기시 자금이 환원되기에 외환보유액 감소는 일시적 감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한 한은은 환율이 최근 하락세에 있어 외환보유액이 4000억달러를 하회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내다봤다.
한은 관계자는 “최근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로 다시 떨어지면서 국민연금의 환 헤지 필요성도 더 줄어들 가능성이 커 외환보유액 감소를 걱정할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외환보유액 중에서는 유가증권이 3565억달러로 전체의 88.1%를 차지했으며 예치금이 232억3000만달러로 5.7%, SDR이 156억8000만달러로 3.9%의 비중이었다.
금은 47억9000만달러로 1.2%였으며 IMF 회원국의 출자금 납입·융자 등 관련 보유 청구권인 IMF포지션이 44억7000만달러로 1.1%였다.
유가증권과 예치금은 전월 대비 각각 50억3000만달러, 9억3000만달러 줄었으며 SDR과 IMF포지션은 각각 7억달러, 2억8000만달러 증가했다. 금은 전월과 동일했다.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3월말 기준 4097억달러로 전월에서 한 계단 하락한 세계 10위를 기록했다. 이는 한은이 지난 2020년 12월 외환보유액의 세계 순위를 공개한 이래 가장 낮은 순위다.
앞서 한국은 지난 2023년 8월부터 올해 2월까지 9위를 유지한 바 있다.
한은은 이번 순위하락에 대해 외환보유액의 대부분을 금으로 구성하고 있는 독일의 순위가 금 가격 상승으로 인해 10위에서 8위로 올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월드골드카운슬(WGC)에 따르면 독일의 금 보유량은 지난해 기준 3351.5t(톤)으로 외환보유액 중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환보유액 국가별 순위로는 중국이 3조2407억달러로 1위였으며 일본 1조2725억달러, 스위스 9408억달러, 인도 6683억달러, 러시아 6474억달러, 대만 5780억달러, 사우디아라비아 4542억달러, 독일 4355억달러, 홍콩 4125억달러 순이었다.
한편 한국의 금 보유량은 외환보유액 상위 10개국 중 증가 폭이 9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은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금 보유액은 지난해말 기준 약 88억달러로 2015년 대비 약 52억달러 증가했다. 이는 약 1억달러가 증가한 홍콩 다음으로 증가폭이 가장 적은 것이다.
반면 같은 기간 중국·일본·스위스·인도·러시아 등 외환보유 상위 5개국의 금 보유량은 약 518억∼1311억달러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