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7일 종로학원이 학교알리미 공시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최근 2년(2023~2024년)간 학폭 심의 건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고교 학폭 심의 건수는 전년(5834건) 대비 27.6% 증가한 7446건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권과 경인권은 각각 876건, 2706건 발생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85건(26.8%), 812건(42.9%) 늘어난 것이다.
또한 지방권도 같은 기간 대비 18.9% 증가한 3864건으로 집계됐다.
경남이 623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충남과 경북, 충북이 각각 623건, 401건, 383건으로 이를 이었다.
고교 유형별로는 일반고 40.1%(4894건), 과학고 106.7%(31건), 영재학교 50%(6건), 외고 17.6%(60건) 각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전국단위 자율형사립고는 33.3%(16건), 국제고 50%(6건), 체육고는 25%(27건) 각각 감소했다.
아울러 심의 유형별로는 언어폭력 31.1%(3311건), 신체폭력 27.3%(2911건), 사이버폭력 14.1%(1506건), 성폭력 11.7%(1251건), 금품갈취 3.9%(412건)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주요 대학들이 고교 학교폭력 처분 결과를 내년 수시와 정시에 엄격히 반영하기로 한 만큼 학폭이 대입의 또 다른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현행 대학 입시에서 수시, 정시 모두에서 처분 결과 자체가 상당한 불이익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학교폭력이 실제 대학 입시에 반영돼 입시에서 중대 사안으로 매우 민감하게 부각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28학년도부터 적용되는 학교 내신 5등급제에서는 최상위권에서는 내신 동점자들이 많아져 학교폭력 처분 결과 사항은 입시에 치명적 영향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2023년 교육부가 발표한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에 따라 2026학년도부터는 전국 대학이 모든 전형에서 학교폭력 조치사항을 대입에 반영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울대는 내년 정시부터 모든 처분 결과(1~9호)를 정성평가로 최종 점수에 반영하고, 연세대도 학생부교과 추천형 전형에서 1호 처분만 받더라도 지원이 불가능해진다.
이 밖에도 성균관대와 서강대, 한양대 등 대부분의 주요 대학이 수시, 정시 등에서 학교폭력 처분을 받은 수험생에게 강도 높은 불이익을 적용키로 했다.
한양대 관계자는 <투데이코리아>와의 통화에서 “한양대는 2026학년도 입시부터 학교폭력 조치 1호~7호까지 최종성적에서 30점~300점 감점 처리를 진행한다”며 “8호와 9호는 부적격처리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존 수시전형에서도 학폭의 경우 이미 학교생활기록부 평가 등 정성적인 평가를 통해 관련 내용이 점수에 반영되었기 때문에 합격사례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며 “수시에 있어서는 해당 조치사항이 과거와 비교했을 시 변화를 크게 주지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정시는 수능 100%로 운영되는 특성상 해당 부분은 확인할 수 없었으나, 올해 2026학년도부터 모든 전형 요소에 학교폭력 관련 조치사항이 포함되기 때문에 학폭 기재가 있는 경우 합격 가능성이 떨어지게 된다”고 부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