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훈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넷마블이 8일 1분기 실적발표 후 진행된 컨퍼런스콜에서 자회사 메타버스엔터테인먼트의 사업 연계성에 대해 설명하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메타버스엔터테인먼트는 최근 버추얼 아티스트를 중심으로 시장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넷마블은 이와 관련해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 시점에서 시장이 아직 활성화되거나 성장이 되어 있는 시장이 아니란 것”이라며 “팬덤이 확장되고 IP 파워가 생기면 당연히 그 부분에 대한 영향력을 이용해 마케팅 쪽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양한 장르의 IP에 대한 확대를 지속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중장기적인 계획은 당연히 오픈시켜 놓고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회사는 현재 라이브 서비스 중인 게임과 관련해 PC 버전 및 자체 결제 시스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넷마블은 “현재 RF 온라인 넥스트는 모바일 결제만 지원하고 있다”며 “시장의 트렌드라던가 PC 유저들의 요구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2분기 이후 출시할 모든 게임들에 대해서 일률적으로 자체 결제 시스템을 적용할지에 관해서 말하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첫 번째로 해당 게임을 이용하고 있는 유저들의 요구 사항이 가장 중요하다”며 “기존의 유저들이 어떤 요구사항이 있다면 게임의 크기, 매출의 크기 여부를 떠나 PC 플랫폼을 론칭하고 원활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회사는 신작들이 나오는 상황 속 마케팅 비율에 관해서도 입을 열었다.
넷마블은 “마케팅 포션에 대해서는 신작 출시 여부에 따라 비중에 변동이 생기는 것이 맞다”며 “마케팅 포션에 관해서는 철저한 모니터링과 함께 마케팅 효율을 가지고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비율에 대한 부분은 크게 변동이 없는 선에서 관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넷마블은 신작 ‘몬길: STAR DIVE’(이하 몬길)의 CBT와 플랫폼에 관한 정보도 공유했다.
넷마블은 “현재 몬길과 관련해서는 CBT를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CBT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어느 국가의 유저들에게 어느 정도를 어필할 수 있는지 게임성을 확인하는데 타깃이 맞춰져 있다”고 전했다.
이어 “콘솔이나 PC, 스팀에서 론칭을 하느냐 마느냐에 관한 문제는 아직 확정된 게 아니”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게임성에 대해서 일차적으로 정리가 끝나면 어떤 방식으로 어떤 플랫폼에 마케팅을 하고 론칭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지 충분히 검토해 결정 하겠다”고 부연했다.
한편, 넷마블은 이날 올해 1분기 매출액 6239억원, 영업이익 497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6%, 1243.2% 상승한 것이다.
김병규 대표는 “지난 3월 20일 출시해 양대 마켓 1위를 달성한 ‘RF 온라인 넥스트’를 필두로, 향후 준비 중인 신작들도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매 분기 전사적 역량을 집중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