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사진=투데이코리아
▲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사진=투데이코리아
투데이코리아=서승리 기자 | 국내 은행의 서울 지역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증가하며 두 달 연속 집계 이래 최고치를 경신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 투자자들이 높은 금리 등으로 인해 상환 부담이 높아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3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서울 지역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35%로 집계됐다. 지난 1월 0.34%에 이어 두 달 연속 최고치를 넘어선 것이다.
 
해당 통계는 전체 주담대 중 1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대출 비율로, 지난 기간 서울 지역 주담대 연체율은 2021년 12월 0.09% 수준에 불과했다. 이후 점차 증가해 지난해 12월 0.31% 까지 상승했다.
 
특히, 지난 1월 0.34%로 급격하게 상승했으며, 2월 연체율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9년 1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무리한 대출을 통해 주택을 구매한 수도권 ‘영끌족’ 수요자들의 상환 실태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보고 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서울 지역의 주택구입부담지수(K-HAI)는 157.9로 전분기 150.9와 비교해 크게 증가했다. 이는 차주들 소득의 약 40%를 주담대 원리금 상환에 사용한다는 의미다.
 
아울러 차주가 3개월 이상 연체하는 경우 금융기관의 신청으로 재판 없이 집을 경매에 넘기는 ‘임의경매’도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서울 지역 부동산 중 임의경매에 따른 매각 소유권 이전 등기가 신청된 부동산은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체율 상승의 배경으로는 코로나19 이후 초저금리 시기에 실행된 주담대 금리 재산정 기한이 도래한 것이 꼽힌다. 당시 낮은 금리 조건에서 형성된 원리금이 대출 약정이 종료되며 급격한 이자 부담으로 이어진 것이다.
 
서울 지역은 전국 주담대 중 금액 기준으로 약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이에 서울의 주담대 연체율 증가가 전국 부동산 시장 및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만큼 연체율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영끌 차주들이 저금리 시기에 받은 고정금리 약정 기간이 종료되며 상환에 부담이 높아졌을 것”이라며 “수도권 주택은 지방보다 가격이 상당히 높고, 거래도 상대적으로 활발해 지방 부동산 시장과 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연체율 관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