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이 가장 큰 수혜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Bloomberg)은 한국 원자력의 기술력과 안정적인 공급 이력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 우위로 작용하고 있다고 관측했다.
특히 서구 여러 나라가 전체주의 국가인 중국과 러시아의 기술을 채택하는 것을 꺼리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은 사실상 유일한 대안이 때문에 그 미래가 매우 밝다는 평가다.
실제로 경남 창원에 있는 두산에너빌리티의 경우, 세계 최대 규모의 산업용 기계인 단조 프레스를 운영하며 원자로 부품을 대량 생산하고 있다. 24시간 가동되는 이 공장은 선박 샤프트와 제철 롤러를 넘어 최근에는 원자력 발전 핵심 부품 생산 비중을 키우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한국이 현재 26기의 원전을 가동 중이며, 2038년까지 추가 원전이 들어설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중 두산에너빌리티는 2029년까지 수주잔고가 20조6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으며,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뉴스케일에도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에너지 전문 조사기관 블룸버그NEF는 “지금 당장 원전을 지어야 한다면 한국이 가장 합리적인 선택(I would suggest the Koreans)”이라고 평가했다.
한국 원자력 산업의 핵심 경쟁력은 ‘팀 코리아’ 모델이다. 발전사, 건설사, 연료사, 금융기관이 유기적으로 움직이며, 정부와 민간이 함께 수출을 추진한다. 에너지 컨설팅 회사 래디언트 에너지그룹은 “한국은 국가 단위로 움직이며 고객국에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기술적 일관성과 인력도 강점이다.
한국은 1971년 상업용 원전을 도입한 이후 기술 자립에 성공했고, 현재까지 50년 이상 원전 건설을 지속해왔다. 유럽 전력사업자요구기구로부터 설계 인증을 받은 것도 주요 이력이다.
과거 이력도 세계 시장의 눈길을 끄는 이유 중 하나다.
앞서 지난 2009년 수주한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을 2023년 준공한 바 있는 한국에 대해 통상 수년씩 지연되는 원전 프로젝트에서 일정 준수는 이례적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현재 원전은 전 세계 전기 공급의 10분의 1을 담당하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영향을 사전에 방지하려면 2050년까지 지금보다 발전량을 3배로 늘려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과 AI는 원전 수요를 더욱 늘리고 있다. 이 때문에 2027년까지 AI부문에서만 스페인이 1년간 사용하는 전력이 필요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