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혁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16일 한국은행의 ‘4월 수출입물가지수’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원화기준)는 140.32(2020년=100)로 전월 대비 1.9% 하락했다.
이에 해당 지수는 지난해 10월부터 1월까지 4개월 연속 오른 이후 2월(-1.0%), 3월(-0.4%)에 이어 세 달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품목별로는 원재료가 광산품(-4.6%)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4.3% 하락했으며, 세부적으로 원유(-7.4)와 천연가스(-1.3%)가 전월 대비 크게 내렸다.
중간재 역시 석탄 및 석유제품(-4.2%), 1차금속제품(-2.4%) 등이 하락하며, 전월 대비 1.3% 떨어졌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2차전지가 전월 대비 8.2% 크게 하락했으며, 벙커C유 6.7%, 알루미늄정련품 6.4% 등 내린 것으로 집계됐다.
소비재 역시 전월 대비 0.4% 떨어졌으나 자본재는 0.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한은은 국제 유가 하락 등으로 인해 원유를 비롯한 광산품이 수입물가 하락을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4월 국제 유가는 두바이유 기준 월평균 배럴당 67.74달러로 전월 대비 6.6% 하락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는 24.0% 크게 감소했다.
4월 수출물가지수는 133.43으로 전월 대비 1.2% 하락했다.
특히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고 화학제품(-2.3%), 석탄 및 석유제품(-3.6%) 등이 내리며 한 달만에 수출물가가 하락 전환했다.
지난달 원·달러 평균 환율은 1444.31원으로 전월(1456.95원) 대비 0.9% 낮아졌다.
품목별로는 농림수산품이 전월 대비 1.1% 하락했으며 공산품 또한 같은 기간 1.2% 내린 것으로 집계됐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벤젠(-12.5%), 경유(-3.6%), 휘발유(-3.6%) 등은 내렸으나 플래시메모리(10.7%), D램(0.4%) 등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수출가격이 전년 동월보다 하락한 것은 석탄·석유나 화학제품에서 국제유가가 전년 동월 대비 크게 떨어져 이런 제품들에서 전년 동월 대비 하락했다”며 “반도체 같은 경우도 전년 동월 대비로는 가격이 하락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수입물량지수는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기계 및 장비 등이 증가해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했으나 수입금액지수는 3.2% 하락했다.
수출물량지수는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1차금속제품 등이 증가해 전년 대비 7.7% 올랐으며 수출금액지수도 같은 기간 3.1% 뛰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입가격(-5.3%)이 수출가격(-4.2%)보다 더 크게 하락하며 전년 동월 대비 1.2% 올랐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1단위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지수화한 수치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와 수출물량지수가 모두 오르며 전년 대비 9.0% 상승했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수출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지수화한 수치다.
이문희 팀장은 “수출 단위당 수입할 수 있는 수입량인 순상품교역지수가 수입가격이 수출가격에 비해 크게 떨어져 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소득교역조건지수도 순상품교역조건지수, 수출물량지수가 올랐기에 총 수출금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이 큰 폭으로 늘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