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오세훈 서울시장은 19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약자와 동행하는 서울’ 토론회를 열고 시의 정책인 ‘디딤돌 소득’과 ‘서울런’의 주요 성과를 공유했다.
오 시장은 “서울은 ‘성장보다 성숙’, ‘수치보다 가치’를 앞세워 복지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고 있다”며 “‘디딤돌소득’과 ‘서울런’은 이 철학을 바탕으로 설계된 대표 정책”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초생활수급제도에서의 탈수급률은 0.2%에 불과하지만, 시의 시범사업에서는 8.6%에 이르렀다”며 “정책은 지속 가능하고 확산 가능할 때 진정한 가치가 생긴다. 이 모델이 전국으로 확대된다면 양극화 해소에 결정적인 변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 가구에 부족한 소득을 보전하는 하후상박형 정책인 ‘디딤돌 소득’은 기존 복지 사각지대 저소득층도 지원받을 수 있도록 소득·재산 기준으로 선정한다.
특히 일정 소득을 초과하더라도 수급 총액을 유지하는 선에서 수급 자격을 유지해 근로의욕 저하를 방지하고 있으며, 현재 2076가구가 디딤돌 소득의 수혜를 받는 중이다.
또한 서울런은 6~24세 취약계층 학생에게 양질의 온라인 강의와 1:1 멘토링을 무료로 지원하는 교육복지 사업으로 지난해 수능 응시자 가운데 서울런을 통해 782명이 대학에 진학했다.
시는 이날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고 프로그램 및 대상 확대를 통해 서울시의 대표적인 약자동행 정책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김문수 후보는 “시가 실험을 통해 검증한 디딤돌 소득과 서울런은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현실에 기반한 해법”이라며 “서울보다 더 많은 약자가 있는 지방부터 이 정책이 도입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준석 후보도 “서울시가 시범사업부터 재정계획까지 꼼꼼히 준비해 교육·소득 격차 해소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정치가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가 바로 이런 사다리 복원으로, 저도 전면 도입을 위해 함께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김문수 후보는 이날 이준석 후보에게 단일화에 대한 입장을 내비쳤다.
김 후보는 “이 후보는 제가 속한 국민의힘 대표”라며 “저보다 더 당의 정책, 이념, 인물에 대해 잘 알고 있다. 우리 당이 잘못해서 이 후보가 밖에 나가 고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날 토론회에서 제 지지자들은 ‘엠브이피(MVP)는 이준석이다. 김문수 아니다’(라고 한다)”며 “우리 둘은 서로 짠 것 없고 전화 안 한다. 생각이 늘 같고, 정책 방향도 함께 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토론회 뒤 기자들과 만나 “지금도 이 후보는 다른 후보, 다른 당이라고 생각 안 한다”며 “우리 당이 좀 잘못한 점이 있어서 헤어져 있으나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이 후보는 “단일화 논의 자체에 관심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 후보는 “김 후보가 안타깝기는 하다. 김 후보의 진정성과 보수 진영을 규합해 선거를 치러보려는 선의는 의심 안 하지만 이길 수 있는 방식이 아니다”라며 “단일화 논의 자체에 관심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큰 성과를 내놓은 이후 내쫓고, 요즘 다른 소리를 하는 것을 보니 환절기인가보다. 그렇다고 제 정치적 입장이 달라질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