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 물품구매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가 20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앞에서 김병주 MBK 회장의 구속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투데이코리아
▲ 홈플러스 물품구매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가 20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앞에서 김병주 MBK 회장의 구속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투데이코리아
투데이코리아=김유진 기자 | ‘홈플러스 단기채권 사태’와 관련해 물품구매전단채 피해자들이 증거인멸 및 해외 도주 등을 이유로 검찰에 김병주 MBK 회장의 구속 수사를 촉구했다.
 
홈플러스 물품구매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20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말했다.
 
이의환 비대위 집행위원장은 “검찰은 지난 19일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에 대한 출국금지 조치를 취했다”며 “그동안 종적을 감춰왔던 김병주 회장의 귀국은 많은 시사점을 알려준다”고 운을 뗐다.
 
이어 “김 회장이 입국한 이유는 김 회장이 해결해야 할 긴급현안 때문이며, 결정적 범법 사실이 확인되어 방어차원에서 자진 입국하였을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피해자들은 기업 회생 직접 2월 25일 발행한 820억원의 유동화 전단채 발행뿐 아니라 지난 12월부터 급격하게 늘어난 채권 발행의 증가는 갚을 능력도 안되면서 회생신청을 염두에 두고 의도적으로 발행량을 늘린 것이라 본다”고 주장했다.
 
앞서 홈플러스는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강등되기 사흘 전에 820억 규모의 유동화증권(ABSTB)을 발행했으며, 이후 3월 4일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홈플러스와 MBK 파트너스 경영진 등은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준비하는 것을 숨기고, 단기채권을 발행해 회사 손실을 투자자들에게 전가하려 한 사기적 거래 행위를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에 검찰은 전날(19일) 김 회장을 비롯해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 조주연 홈플러스 대표를 출국금지 조치한 바 있다.
 
▲ 이의환 홈플러스 물품구매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이 20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투데이코리아
▲ 이의환 홈플러스 물품구매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이 20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투데이코리아
이를 두고 이의환 집행위원장은 구속 수사에 착수해달라고 촉구했다.
 
그는 “홈플러스는 ‘지급불능의 위기가 현실화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회생신청을 제출했다’고 주장하였으나 홈플러스는 다양한 컨틴전시 플랜을 이미 마련하고 있었다”며 “위기에 봉착하자마자 준비된 각본에 따라 회생신청 플랜을 실행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비대위는 김 회장은 홈플러스를 위기에 빠트린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본다”며 “홈플러스의 최대 소유주인 MBK 회장으로서 기업회생이라는 중요한 변수와 홈플러스 재정상태를 방관할 수 없는 위치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비대위는 서울 중앙지검의 이례적이고 적극적인 수사에 감사드린다”면서도 “김 회장이 다시 해외로 도주하거나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으므로 인신구속을 위한 절차에 착수해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정희왕 비대위원장도 “오늘이 회생신청 78일째 되는 날”이라며 “우리는 이 순간까지 살이 내리고 머리카락이 한 움큼씩 빠지고 이빨이 흔들릴 정도로 극심한 스트레스 속에서 하루하루를 살아내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러나 “홈플러스의 비극적 사태의 주범 김병주 김광일은 여전히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며 “법이 정의롭다면 검찰은 반드시 김병주, 김광일, 조주현을 엄중 조사하여 반드시 구속 수사하여 달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