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훈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1일 한국경제인협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대책’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53.5%가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경협 관계자는 “최근 들어 소비자물가가 2% 초반의 안정세를 유지하고는 있으나, 누적 기준으로 보면 고물가는 장기화되고 있어 국민들이 체감하는 물가수준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소비자물가지수는 2016년(95.78)에서 2020년(100)까지 4.4% 상승했으며 2020년부터 올해 4월(116.38)까지 16.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 속 국민들이 가장 바라는 민생회복 과제로는 ‘물가 안정’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안정’는 60.9%로 가장 높았으며,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주거 안정’은 각각 17.6%, 9.5%로 뒤를 이었다.
특히 물가 안정은 모든 연령대의 응답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대 이하(57.2%), 30대(56.3%), 40대(63.5%), 50대(64.9%), 60대 이상(60.7%) 등 모든 연령층에서 물가 안정 응답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물가 안정을 제외했을 때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20대 이하와 50대에서 각각 23.0%, 19.3%를 기록하며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30대에서는 ‘주거 안정’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응답 비중이 16.9%로 조사되며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됐다.
이를 두고 한경협은 신규취업 및 재취업 수요가 큰 20대와 50대, 그리고 결혼 후 주택구입 시기인 30대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할 정책으로는 35.9%가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을 답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우선 정책과제로는 31.9%가 ‘청년·여성·고령층 맞춤형 고용 지원 강화’를 꼽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와 경기침체 장기화로 국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체감물가와 직결되는 식료품, 생필품 가격 안정을 위해 농산물 수입선 다변화, 유통구조 개선 등에 노력하고, 민간의 일자리 창출 여력 확충으로 가계의 소득창출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