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민석 기자
cidddddd@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5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한 뒤 엑스(X·옛 트위터)에 “좋은 합의에 도달하려면 7월 9일까지 시간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7월 9일은 트럼프 대통령이 애초 지난달 발표한 상호관세 유예가 만료되는 시점이다.
이어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EU는 신속하고 결단력 있게 협상을 진전시킬 준비가 돼 있다”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내달 1일부터 EU에 5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한 지 이틀 만에 전화 통화를 통해 설득에 나선 것이다.
이에 앞서 같은 날 라르스 클링바일 독일 재무장관도 독일 매체 빌트와 인터뷰에서 “지금 우리는 더 이상의 도발(provocations)이 아닌 진지한 협상이 필요하다”면서 지난주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회의에서 만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도 같은 논의를 했다고 말했다.
클링바일 장관은 (국제사회가) 대서양 무역 긴장을 완화하고 정치적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면서 “미국의 관세는 적어도 독일, 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만큼이나 미국 경제에도 위협이 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 EU와 협상에 진전이 없다고 불만을 제기하며 “6월 1일부터 곧장 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을 제안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협상 내용을 미국이 정하겠다며 “이제 내가 아는 방법으로 게임을 해야 할 때”라고 경고성 메시지를 던졌다.
협상 타결을 강조하는 입장을 낸 독일, 네덜란드 등 일부를 제외하고선 대부분의 EU 회원국들은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를 두고 감정적 대응이 트럼프 대통령을 더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현지에서도 ‘오락가락’이라고 부를 만큼 즉흥적이며 예측 불허인 트럼프 대통령만의 협상 방식을 고려할 때 집행위는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50% 관세 부과 개시일 전까지 미국을 다시 협상테이블로 끌어들이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EU는 애초 지난달부터 시행하려던 미국 철강 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를 7월 14일까지 90일간 미뤄놓고, 그 안에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보류 기간을 연장할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그렇게 해서라도 전면전만큼은 피해야 한다는 기류가 적지 않다는 게 복수 EU 관계자의 전언이다.
다만, EU와 미국 간 극명한 입장 차를 고려하면 당장은 중대 돌파구가 나오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EU에 대한 미국의 무역적자가 연간 2500억달러(약 342조원)가 넘는다고 줄곧 주장해 왔으나 EU는 미국이 서비스 부문에서 흑자를 내고 있으며, 이에 상품·서비스 부문 무역수지를 합하면 미국의 무역적자가 500억유로(568억 달러·약 78조원)에 그친다고 반박해왔다.
EU는 미국 주장대로 ‘무역수지 균형’을 맞춰야 한다면 그 대상 금액 역시 500억 유로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EU는 협상안으로 자동차를 비롯한 공산품에 대한 상호 무관세를 비롯해 미국산 에너지, 무기, 일부 농산물 수입 확대 등을 제안했다.
그러면서도 미국이 요구하는 디지털 규제와 농식품 검역규제 완화 등 EU법 자체를 건드리는 건 불가능하며 영국처럼 미국의 기본(보편)관세 10%가 유지되는 것 역시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날 블룸버그통신(Bloomberg)은 “일각에서 미국의 요구안이 지나치게 비현실적이라는 불만도 나온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