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혁 기자
news1@todaykorea.co.kr
기자페이지
27일 한국은행의 ‘5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발표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1.8로 전월 대비 8.0포인트 상승했다.
이에 해당 지수는 100을 상회하며 비상계엄 사태 이전을 회복했으며 상승폭으로도 12.3포인트 올랐던 지난 2020년 10월 이후 가장 크게 뛰었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6개 주요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로, 장기 평균치(2003~2024년)인 100 이상이면 소비 심리가 낙관적임을 뜻하며 이를 하회하면 비관적 심리가 우세함을 나타낸다.
특히 주요 구성 지수 6개가 모두 전월 대비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향후경기전망CSI(91)가 전월 대비 18포인트 올랐으며, 현재경기판단CSI(63)도 11포인트 상승했다.
생활형편전망CSI(97)는 5포인트, 현재생활형편CSI(90)가 3포인트 개선됐다. 가계수입전망CSI(99)와 소비지출전망CSI(108) 역시 각각 3포인트씩 전월 대비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혜영 한은 경제통계1국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추경안 국회 본회의 통과, 미 상호관세 유예조치 등 통상리스크 완화, 새정부 출범 및 경제 정책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크게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주택가격전망CSI는 수도권 지역 아파트 가격 오름세 지속 영향에 전월 대비 3포인트 상승한 111을 기록했다.
앞서 주택가격전망은 지난해 9월 이후 5개월 연속 하락해 2월(99) 100을 하회했으나 3월(105)부터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지난해 10월(116)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이 팀장은 “주택가격전망은 현재 부동산 시장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며 “수도권 지역 가격 오름세가 지속되며 올라갈 것으로 보시는 분들이 늘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금리수준전망CSI는 93으로 전월 대비 3포인트 떨어졌다.
물가수준전망CSI는 145로 전월 대비 4포인트 하락했으며 향후 1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6%로 전월 대비 0.2%포인트 떨어졌다.
3년 후 및 5년 후 기대인플레이션율도 2.5%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의 응답 비중으로는 농축수산물이 51.3%로 가장 높았으며 공공요금 47.0%, 공업제품 33.4% 등 순이었다.
이 팀장은 “소비자심리지수가 장기평균 수준을 상회하며 크게 개선되긴 했지만 그간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었던 것에 대한 기저효과도 반영됐다”며 “심리회복을 제약했던 정치 불확실성, 관세정책 등 부정적 요인이 최근 완화되며 기저효과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향후 경기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기에 계속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은행의 이번 조사는 지난 13~20일 전국 도시 2500가구(응답 2282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