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3월18일(현지 시간) 미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 SAP 센터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회의 GTC 2025에서 기조연설하고 있다. 젠슨 황은 이 자리에서 2028년까지의 인공지능(AI) 칩 출시 로드맵,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위한 '아이삭 그루트 N1' 플랫폼, 차세대 자동차 AI 활용 등을 공개했다. 사진=뉴시스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3월18일(현지 시간) 미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 SAP 센터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회의 GTC 2025에서 기조연설하고 있다. 젠슨 황은 이 자리에서 2028년까지의 인공지능(AI) 칩 출시 로드맵,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위한 '아이삭 그루트 N1' 플랫폼, 차세대 자동차 AI 활용 등을 공개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세계 인공지능(AI) 칩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 반도체 제조기업 엔비디아가 올해 1분기 미 행정부의 대중국 수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예상치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했다. 

28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장 마감 후 발표한 올해 2~4월 실적에서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한 441억달러(약 61조300억원)으로 집계됐다. 순이익은 26% 오른 188억달러(26조200억원·주당 76센트)이었다.

미국 정부의 중국용 칩 판매 제한 조치에 대응해 엔비디아가 부담한 45억 달러 지출이 없었다면 순이익은 주당 96센트를 달성하면서 25억달러(3조4600억원)의 매출액이 추가로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애널리스트들은 주당 73센트를 예상했다.

예상을 뛰어넘는 매출과 수익을 달성한 배경에는 엔비디아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데이터 센터 사업이 전년 대비 73%를 넘는 성장률을 기록한 점이 주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AI 칩과 관련 부품을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 사업부의 해당 기간 매출액은 391억달러(약 54조1200억원)로 전체 매출의 88%를 차지했다.

엔비디아는 대규모 클라우드 공급업체가 데이터 센터 부문 수익의 절반을 차지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회사 네트워킹 제품에서 50억달러(약 6조9200억원)의 매출액이 발생했다고 했다.

사측은 다음 분기(5~7월) 매출액을 450억달러(약 62조 2900억원)로 예상했다. 런던증권거래소(LSEG)가 올해 7월 분기 매출액을 459억달러(약 63조5400억원)로 예측한 것과 대조된다.

엔비디아는 최근 중국시장용 H20 칩 수출 제한으로 인한 매출 손실을 제외하면 예상 실적이 약 80억 달러(약 11조700억원) 더 높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실적 발표 후 투자자들과 가진 콘퍼런스콜에서 “중국의 500억 달러(약 69조2400억원) 규모 AI 칩 시장이 실질적으로 미국 기업에는 폐쇄됐다”고 말했다.

황 CEO는 “H2O 수출 금지로 인해 중국에서의 호퍼(Hopper) 데이터 센터 사업은 종료됐다”고 덧붙였다.

특히 미국이 AI(인공지능)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가 되려면 중국과의 무역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같은 날 황 CEO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에는 개발자가 너무 많고, 전 세계 모든 개발자가 미국의 기술 스택을 선호하길 원한다”며 “이것이 아마도 우리가 중국에 진출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전략적 이유일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